내국인 관광객 감소 이어져
중국인 관광객 줄어들까 전전긍긍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주 관광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내국인 관광객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그나마 버팀목 역할을 해 온 중국인 관광객마저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오는 3분기부터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제주 외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히면서다.
30일 제주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총 1376만명으로 전년보다 3.0% 늘었다. 이는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 덕분이다. 내국인은 약 80만명 감소한 반면, 외국인 관광객은 2배 넘게 증가한 190만명에 달했다.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은 138만명으로 전체 외국인의 73%를 차지했다. 2023년(41만여 명)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했다.
제주도 김녕해수욕장 전경[사진=제주관광공사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들어서도 흐름은 비슷하다. 지난 1월 제주를 찾은 전체 관광객은 98만 명으로 전년 대비 7% 감소했다. 이 가운데 내국인은 86만명으로 10% 줄었고, 외국인은 12만명으로 20% 늘었다. 고물가와 바가지 논란, 해외여행 증가 등이 내국인 감소 원인으로 지목된다.
여기에 더해 내국인 방문의 핵심 교통수단인 항공편도 줄어들고 있다. 올해 제주~김포 노선은 주 799편이 운항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하계 시즌 주 814편 대비 15편(1.8%) 감소한 수치다.
정부의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확대 방침도 변수로 떠올랐다. 현재는 제주에 한해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다.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르면 제주도에서는 2002년부터 관광객 유치를 위해 테러 지원국을 제외한 국적의 외국인은 30일간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다. 하지만 3분기부터는 서울·부산 등 전국으로 한시 확대된다. 관광객 분산이 불가피해지면서, 제주 입장에선 기존 경쟁우위가 약화되는 셈이다. 이미 변화의 조짐은 나타나고 있다. 1월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20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 증가했다. 전국적인 관광객 유치 경쟁이 본격화되면 제주가 누리던 상대적 독점 효과는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제주도는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총 50억 원 규모의 '제주의 선물' 캠페인을 통해 단체관광객 인센티브를 늘리고, 숙박·음식·쇼핑 등 연관 산업 지원에 나선다. 관광 자유이용권 '제주형 원패스' 비용의 절반을 디지털 관광증 발급자에게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전문가들은 제주 관광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진단한다. 단기적 인센티브보다 콘텐츠 고급화, 불친절 해소, 서비스 품질 향상 등 중장기적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중국 관광객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한류 콘텐츠, 다양한 직항 노선 확보 등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