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만명에게 잘못된 사진 노출
日 총무성 '통신의 비밀' 위반 판단
재발 방지 위한 대책 강화 요구
라인야후 로고(사진=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9일 교도통신 등 일본 주요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전날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사장에게 행정지도 문서를 전달해 전기통신사업법이 규정한 ‘통신의 비밀’과 관련해 철저한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이번 조치는 작년 11월 라인에서 사진을 보존하는 ‘앨범’ 기능과 관련해 다른 이용자의 사진이 표시되는 일이 벌어진 것과 관련돼 있다.
총무성은 이번 사안에 대해 전기통신사업법상 통신의 비밀 누출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라인야후에 대해 서비스 제공 전 테스트 강화, 개발 가이드라인 검토 및 전사적 대응 체계 개선을 요구했다. 또 별도의 기한을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개선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라인야후는 이번 오류 외에도 사용자 정보 유출 사건이 여러 차례 발생해 일본 정부는 작년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쳐 행정지도를 시행했다.
일본 총무성은 “국민이 널리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강력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인은 일본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메신저 앱이다. 일본 내 라인 이용자는 지난해 9월 기준으로 9700만명이었다.
당시 행정지도 내용에는 자본관계 재검토 요구가 포함돼 일본이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한국에서 일었다. 라인야후 최대 주주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합작법인 A홀딩스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의 A홀딩스 지분율은 각각 50%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