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인터뷰
20일 본회의서 국민연금 개혁안 반대표
“고갈 몇년 늦추는 건 개혁 아니야
기금 규모 일정 수준 유지에 목표 둬야”
연금특위 구성원 늘려 젊은층 편입 필요
기초연금도 재편해 재원 확충 논의해야
20일 본회의서 국민연금 개혁안 반대표
“고갈 몇년 늦추는 건 개혁 아니야
기금 규모 일정 수준 유지에 목표 둬야”
연금특위 구성원 늘려 젊은층 편입 필요
기초연금도 재편해 재원 확충 논의해야
‘국민연금 개혁안 반대’ 공동 회견하는 여야 30·40세대 의원들 국민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30·40세대 여야 의원들이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 나은 연금개혁을 요구하는 국회의원’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8년만의 국민연금 모수개혁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지 3일째 되던 지난 23일. 최근 국회에서 보기 힘들었던 장면이 나왔다. 여댱과 야당을 막론하고 연금개혁안에 반대를 던진 3040 국회의원 7명이 연금개혁에 대해 반대한 이유를 설명하는 자리를 가진 것이다. 이들은 ‘평균 연령이 57세인 국회가 젊은 세대에게 부담을 지우는 연금 개혁을 했다’며 ‘연금 특위 인원을 늘려 젊은 층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매일경제는 지난 26일 국회의원 7명 중 한명이었던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국민연금 개정안에 반대표를 던진 이유와, 바람직한 연금 개혁의 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지난 23일 여야 3040 의원들의 기자회견은 어떻게 성사됐나?
-국민연금 개혁안에 반대표를 던진 이유가 궁금하다.
-기금을 유지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연금 개혁으로 몇년 미뤄졌을지는 모르나, 10여년 안에 우리는 기금 규모를 줄여가기 시작해야 한다. 보험료 수입에서 연금 지급액을 뺀 보험료 수지가 적자가 되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이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가장 큰 손인데 시장이 그걸 감당할 수 있겠나. 또 지금 기금 규모가 1200조원 이상이라고 하지만 이는 평가상 가치다. 처분하는 순간 이 평가 금액은 줄어들 가능성도 많다. 국내 자산보다 수익률이 더 높은 해외 자산까지 팔기 시작하면 기금운용 수익률에도 문제가 생긴다. 이런 것들을 생각하면 국민연금 목표 자체가 기금 규모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방식이 돼야 우리가 후대에 정말 자랑스러운 선조가 되고, 자랑스러운 복지체계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들을 것이다.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매일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장철민 의원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입자수나 기대여명과 같은 거시 변수를 연금 수급액에 연동하는 자동안정화장치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가?
-국민연금 기금을 보장하는 재원은 어떻게 마련하나?
=우선적으로 국민연금과 직접 관계가 깊은 세출을 조정해야 한다. 연 1조원 규모가 될 연금소득세를 고려하고 있다. 병역‧출산 크레딧 지출도 기금이나 미래 정부에 미룰 것이 아니라 현재 정부가 즉시 지출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미래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은 상대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노후 빈곤을 줄이는 효과가 떨어지는 기초연금의 재편도 연관해 논의해야 한다.
-앞으로 구조개혁에서 또 이뤄져야할 논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지난 26일 여야가 모두 22대 국회 연금특위 구성원을 발표했다. 앞으로 국민연금 구조개혁 논의에서 3040의 의견이 더 반영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떤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현재 국회 특위를 조금 늘릴 필요는 있다. 민주당 젊은 의원들은 지금의 개정안에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거나 엎어져야 된다고는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지금보다 더 나아간 확실한 개혁방안을 만들려면 지금보다 훨씬 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고, 지금 13명의 특위로 충분하겠냐는 걱정은 있다. 그런 취지에서 지난번 우리 청년 세대가 조금 더 참여하면 어떻겠냐는 의견을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에게 드렸던 거다. 이번 특위는 확실히 성과를 내야 하는 특위라서 의장님도 (특위 구성원 변화에 대해) 조금 의지를 더 보여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특위와 상관없이 청년층을 위한 연금개혁에 동참할 계획이 있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