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김일성 관련 정보전
러, 김일성 타살 가능성 거론
김정일 체제 지속가능성에 의문 제기
중국은 김정은 체제 빠르게 인정
美, 과거에도 민감국가 이유 안 밝혀
정부, 70년대 핵무장론을 사유로 추정
러, 김일성 타살 가능성 거론
김정일 체제 지속가능성에 의문 제기
중국은 김정은 체제 빠르게 인정
美, 과거에도 민감국가 이유 안 밝혀
정부, 70년대 핵무장론을 사유로 추정
1992년 김일성 당시 북한 주석이 극비로 중국을 방문해 덩샤오핑을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매경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994년 김일성 북한 주석이 사망하자 각국은 사인부터 후계 구도까지 긴급하게 정보를 교환하며 북한의 급변 사태가 불러올 지정학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노력했다. 러시아는 타살 가능성까지 거론했고 북한 체제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정보도 쏟아졌다. 다만 중국은 김일성 주석의 간곡한 부탁을 받은 덩샤오핑의 배후 영향으로 가장 먼저 북한의 권력 세습을 인정하면서 북한의 체제 안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외교부는 30년이 지나 비밀이 해제된 1994년 외교문서를 28일 공개했다. 분량은 무려 2506권 38만여 쪽에 달한다. 문서에는 1994년 7월 김일성 북한 주석이 사망했을 당시 한국 외교당국이 주요국과 나눈 긴급한 외교 소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후계자 김정일과 그가 이끌 북한에 대해서도 부정적 전망이 다수였다. 스탠리 로스 당시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반기문 당시 주미대사관 공사와 면담에서 “김정일이 승계에 성공하더라도 김일성에 비해 카리스마가 부족하고 정통성이 결여돼 있는 데다 경제난으로 일정 기간 이후 많은 도전을 맞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김정일이 핵문제와 관련해 강경파이기 때문에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지 않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반면 중국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김정일 체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여기에는 덩사오핑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문제를 담당하는 중국 외교부의 한 인사는 “김일성은 과거 중국 방문 시 덩샤오핑에게 아들 김정일 문제를 부탁(托孤·탁고)해두었기 때문에 덩샤오핑이 생존해 있는 한 중국 정부는 그의 의사를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에너지부(DOE)는 과거에도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하면서 사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당시 한국 외교당국은 미국이 이유를 제대로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정을 납득할 수 없다는 논리를 펴며 미국 측에 명단 배제를 집요하게 요구했다.
정부는 1993년 12월 ‘제1차 한미 과학기술협력 공동위원회’에서 미국에 민감국가 목록에서 한국을 삭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당시 “민감국가로 지정되는 여러 이유(핵비확산, 국내 불안정, 테러리즘 등)가 나열돼 있으나 한국이 어떤 이유로 민감국가로 지정됐는지가 분명치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지난 1월 민감국가 지정 사유에 대해 ‘외교 정책’ 문제가 아니라 기술적 함의가 있는 ‘보안 문제’라고 설명하고 있다. 국내 정치권에서 제기된 핵무장론이 지정 이유가 아니라는 판단이다. 이번에도 미국은 30여 년 전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