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코인전망]올해 들어 8.90% 하락한 비트코인
올해 비트코인·이더리움과 글로벌 주요 지수 변동률. /그래픽=이지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들어 비트코인이 글로벌 주요 주가 지수 대비 낮은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대표 지수인 코스피가 6.63% 오른 반면 비트코인은 8.90% 하락했다. 하락세를 보인 닛케이(-5.56%), 나스닥(-7.66%)보다 낮은 수익률이다. 특히 이더리움은 42.85% 내리면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가상자산(코인) 시장은 한주간 제한적인 강보합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발 관세 리스크가 이어지는 가운데 가상자산 제도화와 관련된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졌지만 큰 호재도, 악재도 되지 못했다. 다음주 예정된 거시경제 지표에 주목하며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지난 28일 오후 4시55분 기준으로 가상자산 시황 플랫폼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은 전주 대비 1.55% 오른 8만5159.57달러를 나타낸다. 같은 시간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는 1억2600만원대에 거래 중이다. 김치 프리미엄은(한국 프리미엄)은 전주와 비슷한 0.8%대다.
코인 시장은 한주간 혼조세를 보였다. 이더리움은 3.37% 하락했고, XRP(리플)와 BNB(비앤비)도 각각 7.70%, 0.19% 내렸다. 반면 솔라나(2.64%), 도지코인(7.92%), 톤코인(7.75%), 체인링크(2.22%), 아발란체(10.49%), 수이(12.76%)는 강세를 나타냈다.
이어 "정책 리스크와는 별개로 제도화 관련 뉴스가 시장 심리를 지지했다"라며 "미국 26개 주가 비트코인을 공공자산 예비금으로 최대 10%까지 편입할 수 있는 법안을 추진 중이며, IMF(국제통화기금)도 사상 처음으로 디지털 자산을 국제통계 기준(BPM7)에 공식 반영해 제도권 진입 가능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이더리움 가격 추이와 주간 가격 상승률 순위. (2025년 3월 28일 기준) /사진제공=쟁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알트코인 시장에서는 크로노스(CRO)가 한 주간 39.33% 오르면서 상승률 1위에 올랐다. 쟁글은 크로노스가 트럼프미디어앤테크놀로지그룹의 신규 ETF(상장지수펀드) 상품에 포함된다는 소식에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소각한 토큰을 ETF 출시를 이유로 재발행한 것이 알려지며 신뢰성 논란이 일었다고 덧붙였다.
다음 주에는 △1일 미국 2월 구인·이직 보고서(JOLTS), 미국 3월 공급관리협회(ISM)의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3월 미국 ADP 취업자 변동, △3일 미국 ISM의 서비스업 PMI, △4일 미국 고용보고서 등 금리에 영향을 줄 거시경제 지표 발표가 예정됐다.
최승호 연구원은 "다음달 초 예정된 발표 전후로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비중 조절과 리스크 관리가 우선시돼야 한다"라며 "확정된 금리인하 신호가 나오기 전까지는 급등보다는 등락 반복 장세가 이어질 수 있어 중립적인 포지션 유지와 분할 매수를 통한 리스크 완화 전략을 추천한다"라고 했다.
박수현 기자 literature1028@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