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남북으로 관통하는 '사가잉 단층' 1천200㎞ 미얀마 관통
미얀마 아웅반 호텔 붕괴 |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권숙희 기자 = 28일 규모 7.7 강진이 일어난 미얀마는 여러 개의 지각판이 맞닿은 곳에 있어 이전부터 지진 위험지역으로 꼽혀왔다.
미얀마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 순다판, 이보다 작은 버마판 등 최소 4개 지각판 사이에 끼어 있다.
인도 매체 퍼스트포스트에 따르면 미얀마에서는 지난 100년 동안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14차례 발생했다.
특히 이번 지진은 최대 7.9로 추정된 1912년 메묘 지진(버마 지진) 이후 113년 만에 미얀마에서 발생한 가장 강력한 지진이다.
미얀마 휴양도시인 핀우린 인근에서 발생한 이 지진으로 인한 당시 사상자 규모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메묘 지진의 경우는 다르지만, 이번 지진을 포함한 미얀마의 큰 지진들은 '사가잉 단층'에서 다수가 발생했다.
인도 매체 인디아투데이 등에 따르면 사가잉 단층은 약 1천200㎞ 길이로 미얀마 국토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단층 선상에는 이번 지진으로 큰 타격을 받은 제 2도시 만델레이를 비롯해 수도 네피도, 최대 도시 양곤 등 미얀마의 주요 도시가 자리 잡고 있다.
과거 미얀마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은 이 단층에서 일어난 경우가 많았다.
인디아투데이는 사가잉 단층 일대에 오랜 지진 활동 역사가 있으며 1946년 규모 7.7 강진과 2012년 규모 6.8 강진 등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이 사가잉 단층과 관련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또한 과거 연구를 인용, 사가잉 단층에 맞닿은 인도판과 버마판이 서로 비스듬히 지나가고 있으며 일 년에 11∼18㎜ 이동한다고 전했다.
인디아투데이는 "연간 최대 18㎜의 미끄러짐 속도는 지각판의 움직임이 상당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지각판이 밀리면서) 더 많은 에너지가 쌓여 강한 지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지진의 진앙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으로, 진원의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규모 7.7 강진 직후 인근에서 발생한 6.4의 여진의 진원 깊이도 10㎞였다.
이번 지진으로 미얀마에서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미얀마 당국은 사상자 수치를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
NYT와 AFP 통신 등은 진앙인 만달레이에 있는 한 종합병원 의료진을 인터뷰해 거기에서만 최소 20명이 숨지고 300명이 다쳤다고 전하고 있다.
inishmor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