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중 갈등의 와중에 중국 시장 다지기에 나선 것은 중국 첨단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삼성전자는 중국 기업과 스마트폰·TV·생활가전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중국 기업이 주요 부품 구매자라는 점에서 '경쟁적 협력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28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미국의 눈치를 보면서도 중국을 외면할 수 없는 복잡한 상황"이라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외국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건 투자 유치가 절박하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지만 한국 반도체 기업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전기차의 전자제어 시스템에 필수적인 MCU(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 파워IC(PMIC), 차량용 이미지센서, 5G·V2X(차량·사물 간 통신) 통신칩, 인포테인먼트용 시스템온칩(SoC)을 포함한 광범위한 반도체 제품군을 갖추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용 클러스터, 센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고해상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공급할 수 있다. 삼성SDI는 원통형, 파우치형, 각형 등 전기차에 필요한 다양한 배터리 폼팩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만은 차량 내 디지털 콕핏 시스템을 비롯해 JBL·하만카돈·뱅앤올룹슨 등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 브랜드를 갖고 있다. 삼성은 부품, 시스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물류에 이르는 전방위 전장 플랫폼 제공 능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이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중국 매출 비중은 전체의 21.6%로, 20.4%인 미주 매출 비중을 넘어선다. 그만큼 삼성전자가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는 중국 내 위상을 재확립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중국은 삼성전자의 주요 생산 거점이기도 하다. 시안 반도체 공장은 삼성의 유일한 중국 메모리 생산시설이다.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 전체의 40%를 이곳에서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중국 톈진과 가오신에서 카메라 모듈을 비롯한 부품 생산을, 삼성디스플레이는 톈진과 둥관 지역에서 스마트폰용 OLED 패널 모듈을 만들고 있다. 삼성SDI는 상하이와 베이징에서 배터리·전자재료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 회장이 시 주석과 독대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내 기술 협력과 공장 운영의 지속가능성, 반도체 공급망에 대한 불확실성 완화 등을 두고 의견을 나눴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덕 기자 / 박소라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