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테크기업 전환"…2027년 말부터 자율주행 '레벨 2+' 목표
삼성전자 등 파트너사 참여…구글 "내비·인포테인먼트 협력 확대"
키노트 발표하는 송창현 사장 |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현대차그룹이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발자 컨퍼런스 '플레오스 25'를 열고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브랜드이자 기술 플랫폼인 'Pleos'(플레오스)를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플레오스는 더 많다는 뜻의 라틴어 'Pleo'와 운영체제 약자인 'OS'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 중심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이 담겨있다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다.
플레오스는 차량 제어 운영체제 'Pleos Vehicle OS'(플레오스 비히클 OS)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Pleos Connect'(플레오스 커넥트)를 큰 축으로 한다.
플레오스 비히클 OS는 차량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운영하는 OS로써 전기·전자(E&E) 아키텍처에 기반해 차량이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플레오스 커넥트는 안드로이드 자동차 운영체제(AAOS) 기반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모바일·차량 연결성을 강화하고 음성 어시스턴트 'Gleo AI'를 통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플레오스 커넥트는 내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 적용되며 2030년까지 2천만대가 넘는 차량에 탑재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 |
현대차그룹은 이날 자율주행을 비롯한 미래 모빌리티 로드맵도 내놓았다.
아트리아 AI는 8MP(메가픽셀) 카메라 8개와 레이더 1개로 도로 상황을 인식하기 때문에 고정밀지도(HD맵) 없이도 작동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각국 교통 법규를 준수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수직 계열화돼있다.
현대차그룹은 내년 3분기 아트리아 AI를 SDV 페이스카에 적용할 계획이다.
수요 응답형 교통(DRT) 플랫폼 '셔클', 교통약자 디바이스 'R1'(알원)을 중심으로 한국·유럽 정부 기관과 도시형 모빌리티 설루션을 전개할 계획이다.
차량용 앱을 자유롭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오픈 생태계 '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도 공개됐다.
개발자 컨퍼런스 플레오스25 |
이날 행사에는 구글, 네이버, 삼성전자, 쏘카, 우버, 유니티 등 주요 글로벌 파트너사가 참여해 모바일 기반 서비스의 확장 방향성을 공유하기도 했다.
드니스 네클리우도프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담당은 여러 기술적 시나리오를 제시한 뒤 "현대차그룹과 AI 기반의 차세대 내비게이션·인포테인먼트 기술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재후 네이버앱 부문장은 AI를 기반으로 모바일과 차량 간 경험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겠다면서 음성 검색, AI 브리핑, 목적지 추천 등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현대차그룹 SDV 오픈 플랫폼으로 차량 공유 서비스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고, 마쓰바라 다쓰야 유니티 아태지역 자동차 총괄은 플레오스와의 협력 모델을 통해 차량 내 게임·콘텐츠 제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 개최 |
bing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