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 "무인기 AI에 한국군 장비 형상 학습" 분석
27일 北 공개 사진에서 우리 군 장비 타격 모습 연출
스트라이커 기동포 등 美 장비 모방해 공격 연습도
"北 무기체계, 현대전 맞도록 첨단화 환골탈태 중"
28일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실은 전날 북한이 공개한 자폭 무인기 타격시험에 우리 군 장비와 비슷한 형태의 목표물이 동원된 것은 무인기의 AI에 한국군 장비의 형상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로 북한 매체들이 보도한 무인기 타격에는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L-SAM 발사 차량과 대포병탐지레이더 차량 등 한국군 장비를 모방한 표적이 등장했다. 또 미 M1 에이브럼스 전차와 스트라이커 여단 기동포를 모방한 표적도 있었다. 골판지 드론으로 추정되는 자폭 무인기가 이들 타깃을 공격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한국군 L-SAM과 대포병탐지레이더 모방 표적을 공격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은 전날 보도에서 이들 무인기가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된 자폭공격형무인기”라고 주장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무력 현대화건설에서 무인장비와 인공지능기술 분야는 최우선적으로 중시하고 발전시켜야 할 부문”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자폭형 공격무인기 성능 시험을 공개했을 때 무인기가 BMW 승용차를 파괴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표적을 민간 승용차에서 장갑을 장착한 군용 차량으로 바꾼 만큼 파괴력을 키웠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유 의원은 “북한은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골판지 드론의 장점을 활용해 우리 군 대공방어시스템을 벌떼 공격으로 무력화 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러시아 등 각국의 군사기술을 모방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삼아 무기체계를 현대전에 맞도록 첨단화하면서 환골탈태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전날 공개한 사진에서 북한판 ‘글로벌호크’로 보이는 무인정찰기 ‘샛별-4형’은 지난 해 1월 공개 당시와 다르게 전방 광학카메라 탑재 모습이 포착됐다. 미 글로벌 호크와 유사한 형상으로, 측면 패널에도 비슷한 도장이 있었다. 또 북한이 처음 공개한 조기경보기의 경우 중국 KJ-2000과 유사하게 레이더 돔이 회전식이 아닌 고정식으로 보였다. 내부 임무 콘솔 배치는 러시아 조기경보기와 다르게 인도 처럼 병렬식이었다.
유 의원은 북한이 조기경보기 개발 완료 후 현재 보유 중인 러시아 일루신 IL-76 항공기 3대를 추가 개조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을 방문해 국방과학연구사업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방문 현장에서 공개된 ‘21070601’ 일련번호가 표시된 글로벌호크를 닮은 신형 무인전략정찰기(좌)는 기존에 선보인 ‘샛별-4형’과 외형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