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엑스서 개발자 컨퍼런스 Pleos25 개최
송창현 본부장 “개방형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차세대 인포테인먼트시스템 내년 공개”
정재연 삼성전자 부사장, 박재욱 쏘카 CEO 등 참석
28일 현대차그룹은 서울 코엑스에서 국내외 개발자들을 초청해 개발자 컨퍼런스 ‘플레오스 25(Pleos 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플레오스는 ‘더 많은’을 뜻하는 라틴어 ‘Pleo(플레오)’와 운영체제의 약자인 ‘OS’의 합성어다. 사람과 사물의 이동에 사용자 중심 가치를 더해 기술을 진화시키고 더 나은 이동을 실현하겠다는 현대차그룹의 비전을 담았다.
이날 현장에는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본부장(사장)이 직접 연사로 나섰다. 송 사장은 현대차그룹의 새로운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브랜드이자 기술 플랫폼인 ‘Pleos’를 공식 발표하고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개발 현황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반 앱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을 소개했다.
이날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7년 말까지 레벨2+(플러스) 자율주행을 적용하겠다는 로드맵도 함께 발표했다. 카메라와 레이더 기반 인식, AI 딥러닝 판단 구조 위에 모델 경량화를 지속하며 차량에 최적화된 NPU(신경망 처리 장치)와 대규모 학습 인프라를 통해 학습 효율을 높이고 성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을 스스로 진화하는 러닝 머신(Learning Machine)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이 골자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디커플링)한 구조를 바탕으로, 제어기를 고성능 컴퓨터(HPVC)와 존 컨트롤러(Zone Controller)로 통합해 약 66%를 감축하고, 차량 내 소프트웨어 유연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차그룹은 플레오스 커넥트를 내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약 2000만대 이상의 차량으로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행사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네이버, 구글, 쏘카, 우버, 유니티 등 주요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함께 했다. 현대차그룹은 SDV 비전을 경험하기 위한 부스와 아울러 플레오스 커넥트 기반 앱 개발 관련 기술 세션을 진행하면서 비전을 공유했다.
정재연 삼성전자 스마트싱스팀장(부사장)은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통해 현대차그룹 SDV 차량과 스마트 홈, 모바일 기기를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하고, AI 홈 기반의 맞춤형 경험을 차량까지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 생태계 안에서 개발자들이 함께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후 네이버앱 부문장, 박재욱 쏘카 CEO도 현장에 자리하면서 SDV 환경에서의 서비스 최적화 방안을 소개했다. 마쓰바라 타츠야 유니티 아태지역 자동차 부문 총괄도 차량 내에서 게임 환경 구현 방안을 공개했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해 국제 가전 박람회 CES 2024에서 소프트웨어 중장기 전략인 ‘SDx(Software-defined everything)을 발표하고 소프트웨어 중심 개발 체계로의 전환을 선언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SDx를 통해 모든 이동 솔루션 및 서비스를 자동화, 자율화하고 끊임없이 연결해 누구나 보편적으로 이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