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지적에 팔았지만… 지난해 재구입
野 "우리 경제 악화될수록 이득 보는 상품"
崔 "공직자윤리법상 제한 안 돼"
19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에서 퍼스널 컬러를 알아보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2억 원 상당의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은 전 세계적인 '강달러' 현상에 더해 12·3 불법계엄 여파로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환율 방어 사령관'인 최 부총리는 정작 원화를 팔고 달러에 베팅한 셈이다. 게다가 최 부총리는 2년 전 인사청문회 당시 미국채 보유가 문제 되자 "처분하겠다"고 밝혔는데도 이번에 다시 매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치권에선 최 부총리의 처신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공개된 '공직자 재산공개'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 미국채 30년물인 'T1.375 08/15/50'을 매수해 연말 재산신고 시점에 1억9,712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채권은 미국 재무부가 2020년에 발행해 2050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미국 30년 만기 채권 상품이다. 한국일보는 27일 최 부총리 측에 채권을 매수한 시점이 구체적으로 지난해 언제인지 물었으나 답변을 듣지 못했다. 최 부총리는 지난해 12월 27일 한덕수 총리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
최 부총리의 업무에 속하는 원·달러 환율시장은 지난해 역대 최악으로 평가받았다. 연초부터 금리인하 가속페달을 밟을 것이라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당초 예상과 달리 속도를 조절했고, 4월부터는 중동 리스크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으로 심리적 마지노선인 "환율 1,400원 돌파는 시간문제"라는 우려가 쏟아졌다.
당시 최 부총리는 "대외 충격으로 금융·외환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경우 필요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됐고, 급기야 12·3 불법계엄이 터지자 정부는 전 국민의 노후자산인 연금기금까지 동원해 환율 방어에 나섰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 종가 환율은 1,472.5원으로 치솟아 외환위기 사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익명을 요구한 시장 전문가는 "환율을 지키겠다던 장관도 달러채를 사는데, 기관들이나 개인들이 한국채를 사겠느냐"며 "해외 기관들이 한국채에 대한 믿음을 철회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라 지적했다.
하지만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아 다시 미국채를 사들인 것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 국채 투자는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우리 경제가 악화될수록 이득을 본다”며 “일반 개인의 미국 국채 투자는 문제 되지 않으나, 한 국가의 경제 책임자로서는 부적절하며 해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당시 최 부총리의 미국채 보유 부적절성을 지적한 정태호 의원도 "지난번에 본인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스스로 팔았으면서 경제부총리가 된 뒤에 또 샀다는 것은 공직자로서 기본적인 자질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박세인 기자 sane@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