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곳곳에서 이어지는 땅꺼짐 사고…재발 막으려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지난 월요일 서울 강동구에서 대규모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하면서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습니다.

이런 땅 꺼짐 사고는 해마다 계속되고 있는데요.

대책은 없을지, 최진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차량 뒤편에 달린 하얀색 장비가 이면도로 표면을 훑습니다.

지표투과레이더를 이용해 지하에 빈 곳이 있는지 들여다보는 겁니다.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대규모 땅 꺼짐 사고가 일어나며 인명피해까지 발생하자 강동구청이 관리에 나섰습니다.

구청은 이같은 방식으로 이틀간 사고 현장 일대 지하 구간을 점검하고 빈 구멍이 발견되면 복구해가기로 했습니다.

이번 땅 꺼짐 사고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먼저 도로 밑 상수도관 파열로 인한 누수가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고 있는데, 실제로 수도관 손상은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최근 5년 새 전국에서 1천 건 가까운 땅 꺼짐이 일어났는데, 절반 이상은 망가진 수도관 때문이었습니다.

지난해 9월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에서 일어난 땅 꺼짐 사고도 상수도관 누수가 문제였습니다.

고압으로 뿜어 나온 물에 주변의 흙이 깎이면서 지하에 빈 공간이 생겨날 수 있는 겁니다.

다만 경찰은 당시 사고 현장 아래에서 이뤄졌던 지하철 9호선 연장 공사가 원인일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하로 깊이 파고드는 공사 과정에서 지반이 약해질 수 있는 만큼 철저한 대비와 지속적인 계측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정충기 /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지반 특성에 대해 사전에 면밀히 (분석하고)… 토층의 변화가 심하다든지 연약한 토층인 경우엔 조사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유지 관리 측면에서는 계측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죠."

최근 들어 전국적으로 땅 꺼짐 사고 발생이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체계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최진경입니다.

[영상취재 기자 : 임예성]

#강동구 #명일동 #땅꺼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진경(highjean@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