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김상일 정치평론가>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항소심에서 무죄가 나온 이후 민주당은 윤 대통령 파면 총력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2심 판결을 대법원에서 바로잡혀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윤 대통령 선고에 대해서는 기각과 각하 목소리에 더욱 힘을 싣고 있는데요.
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김상일 정치평론가 두 분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이어지자, 정치권도 정쟁을 멈추고 산불 대응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여야는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한 추경 편성에는 공감하고 있는데요, 예비비 증액을 두고는 이견을 보이고 있어요? 어떻게 풀어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2> 오늘도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 기일이 공지되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숙고가 기약 없이 길어지고 있는데요. 현재로서는 4월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는데, 언제 기일이 잡힐까요?
<질문 3> 우원식 국회의장은 오늘 헌재를 향해 "최대한 신속하게 선고를 내려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헌재의 선고가 지연될수록 우리 사회가 감당할 혼란이 커진다고 말한 건데요. 마은혁 후보자에 대한 임명도 촉구했습니다. 오늘 이 같은 발언을 한 배경,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질문 4> 이재명 민주당 대표 무죄판결을 둘러싼 여야 공방 오늘도 이어졌습니다. 국민의힘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판결이라며 항소심 재판부를 비판하면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해 기각과 각하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는데, 어떤 전략으로 보십니까?
<질문 4-1> 광화문 천막 당사를 운영하고 있는 민주당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거듭 촉구하고 있습니다. 야당의 움직임은 어떻게 해석하세요?
<질문 5> 오늘 나온 여론조사 결과 보겠습니다.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이재명 대표가 31%,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8% 지지율을 보였습니다. 이어 홍준표 대구시장이 6%,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전 대표가 각각 5%를 기록했는데요. 결과, 어떻게 보십니까? 향후 이 대표 선거법 2심 무죄 결과가 이런 흐름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까요?
<질문 6> 정당지지도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4%p 상승하고 민주당 지지율은 2%p 하락하면서 양당이 36% 동률로 조사됐습니다. 정당 지지도,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이재명 대표 선거법 위반 항소심에서 무죄가 나온 이후 민주당은 윤 대통령 파면 총력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2심 판결을 대법원에서 바로잡혀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윤 대통령 선고에 대해서는 기각과 각하 목소리에 더욱 힘을 싣고 있는데요.
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김상일 정치평론가 두 분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이어지자, 정치권도 정쟁을 멈추고 산불 대응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여야는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한 추경 편성에는 공감하고 있는데요, 예비비 증액을 두고는 이견을 보이고 있어요? 어떻게 풀어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우원식 국회의장은 오늘 헌재를 향해 "최대한 신속하게 선고를 내려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헌재의 선고가 지연될수록 우리 사회가 감당할 혼란이 커진다고 말한 건데요. 마은혁 후보자에 대한 임명도 촉구했습니다. 오늘 이 같은 발언을 한 배경,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
<질문 4> 이재명 민주당 대표 무죄판결을 둘러싼 여야 공방 오늘도 이어졌습니다. 국민의힘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판결이라며 항소심 재판부를 비판하면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해 기각과 각하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는데, 어떤 전략으로 보십니까?
<질문 4-1> 광화문 천막 당사를 운영하고 있는 민주당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거듭 촉구하고 있습니다. 야당의 움직임은 어떻게 해석하세요?
<질문 6> 정당지지도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4%p 상승하고 민주당 지지율은 2%p 하락하면서 양당이 36% 동률로 조사됐습니다. 정당 지지도, 어떻게 해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영민(kkong@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