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신형 정찰·공격 드론 성능시험 참관
北, 드론전력 보강 군사적 우선순위 설정해
소형·자폭용 확대…美드론 본뜬 대형기종도
김정은 “조속히 대량생산하라” 전력확대 강조
韓, 北드론 서울 침범이후 드론작전司 창설
폴란드서 자폭드론 도입·중고도기종 개발도
향후 자폭드론을 ‘포탄’에 준해 비축할 방침
北, 드론전력 보강 군사적 우선순위 설정해
소형·자폭용 확대…美드론 본뜬 대형기종도
김정은 “조속히 대량생산하라” 전력확대 강조
韓, 北드론 서울 침범이후 드론작전司 창설
폴란드서 자폭드론 도입·중고도기종 개발도
향후 자폭드론을 ‘포탄’에 준해 비축할 방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형 정찰·공격 무인 공격기(드론) 성능 시험을 잇달아 참관하며 미래 전장의 판도를 바꿀 비대칭 전력 증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육해공의 재래식 무기 경쟁에서 한국에 완연하게 밀리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샛길을 내고 있는 것이다. 핵무기가 막대한 비용이 드는 비대칭 전력이라면 드론은 가성비 높은 저비용 전력인 셈이다.
특히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선에 파병된 인민군 장병들이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이후 드론 전력 증강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모양새다. 김 위원장은 작년부터 자폭 드론을 대량생산하라고 독려하기 시작했다.
통신은 “시험에서는 각이한(다양한) 전략 대상들과 지상·해상에서의 적군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 무인 전략정찰기의 혁신적인 성능이 확증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양한 전술 공격 임무수행에 이용할 수 있는 자폭 무인기들의 타격 능력이 남김없이 과시됐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자폭 드론 성능 시험을 참관하고 “무력 현대화 건설에서 무인장비와 인공지능 기술 분야는 최우선적으로 중시하고 발전시켜야 할 부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장기적인 사업으로 인내성 있게 강력히 추진해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특히 북한이 최근 관영 매체를 통해 공개한 정찰·자폭 드론 모습은 2010년대 초중반 한국 상공으로 내려보냈던 조악한 형태와는 차원이 다른 모습이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에도 수차례 자폭 드론 관련 시설을 찾아가 전력 증강을 다그치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자폭 드론 성능 시험을 참관한 후 “하루빨리 계열생산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대량생산에 들어가라”고 지시했다. 그는 “(드론은) 생산비용이 적게 들고 공정이 단순하면서도 새로운 영역에서 타격력의 한 구성 부분으로 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있다”면서 드론 개발을 군사적 측면에서의 ‘필수적 요구’라고 강조했다.
현재 북한은 1~6m급 소형 드론 20여 종, 500여 대를 포함해 모두 1000여 대에 이르는 전력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안팎에서는 북한이 쿠르스크 전선 파병 대가 중 하나로 러시아로부터 드론 관련 기술을 받아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최근 국가정보원은 파병된 북한군이 현지 전선에서 러시아군에게 드론 전술과 조종법 등을 배우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북한이 공격용 드론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한국군은 고성능·중대형 정찰 드론 도입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국도 2023년 9월 드론작전사령부를 창설하며 다양한 규모의 감시·정찰 드론은 물론 공격용 드론과 ‘드론을 잡는 드론(드론킬러 드론)’ 개발에 나서고 있다.
한국군도 2022년 말 북측 드론이 서울 상공을 침범한 이후 드론 전력을 증강하며 운용 기종을 다양화하고 있다. 군당국은 이 사건 이후 군단급 무인정찰기 ‘송골매(RQ-101)’를 휴전선 이북 5㎞까지 날려 맞대응하기도 했다.
군당국은 기종에 따라 드론을 국내에서 개발하거나 해외에서 도입하며 무기고를 채우고 있다. 한국군은 미국산 글로벌 호크나 이스라엘제 ‘헤론’ 무인정찰기 등도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중고도 정찰용 무인기 생산시설을 완공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다.
한국군은 특히 지난해 폴란드산 자폭 드론인 ‘워메이트’ 200대를 도입했다. 장기적으로는 자폭 드론을 ‘포탄’처럼 대량으로 비축하겠다는 방향성도 세워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드론 전력 확충을 우선 과제로 설정한 북한보다는 속도가 붙지 않는 모습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