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로 소비 꺾이면서 타격 심화
머스트잇 등 다른 플랫폼도 부진
명품 플랫폼 발란이 일부 입점업체에 판매 대금을 제때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란 애플리케이션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배우 김혜수를 모델로 기용하는 등 명품 플랫폼으로 소비자에게 빠르게 다가간 발란이 최근 입점업체에 정산 대금을 제때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지난해 판매자들이 정산 대금을 받지 못해 발생한 티몬·위메프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24일 일부 입점사에 정산 대금을 입금하지 못했다. 발란은 입점사별로 일주일, 15일, 한 달 등 세 주기로 입점사에 판매대금을 정산하고 있는데, 정산 주기가 돌아온 업체에 지급할 대금이 밀린 것이다. 발란에 들어가 제품을 파는 입점사는 1,300여 곳,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 원 정도다.
발란은 대금을 못 받은 입점사에 '정산금 과다 지급 등의 오류가 발견돼 재산정 중이고 28일까지 입점사별 정산금 확정액과 지급 일정을 공유하겠다'고 알렸다. 입점업체들은 지난해 터진 '티몬·위메프 사태'가 재연될까 봐 걱정하고 있다. 대금을 못 받은 일부 입점업체는 25일 발란 사무실을 찾아 항의하기도 했다.
발란이 기업회생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발란의 실적 악화는 이런 의혹을 뒷받침한다. 발란은 영업손실이 2020년 63억5,300만 원에서 2021년 185억5,000만 원, 2022년 373억5,800만 원으로 커졌다. 2023년엔 영업손실이 99억8,000만 원으로 줄긴 했으나 매출이 감소한 영향이라는 평가가 크다. 당시 매출은 392억 원으로 전년 대비 56% 감소했다.
대형 이커머스(전자상거래 기업)가 명품 시장에 뛰어든 점도 발란에 위협이었다. 현재 롯데온, 쓱닷컴(SSG닷컴)은 각각 '온앤더럭셔리' '쓱럭셔리'를 통해 명품을 판매 중이다. 발란과 함께 명픔플랫폼 사업을 하고 있는 머스트잇, 트레비 역시 비슷한 이유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2023년 기준 머스트잇, 트레비의 영업손실은 79억 원, 32억 원으로 조사됐다.
박경담 기자 wall@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