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제주·전남서 매개모기 올해 첫 발견
질병관리청은 27일 올해 처음으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뇌염이 발병하면 사망률이 20~30%에 달하는 만큼 방역당국은 모기 물림에 주의하고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질병청은 이날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을 옮기는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됨에 따라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작년에 비해 3일 앞당겨졌다. 두 지역에서 24~26일 채집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였다. 제주 및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전년에 비해 6.2도나 상승하면서 모기 활동도 그만큼 빨라졌다는 게 당국의 해석이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작은빨간집모기가 그 해 처음 발견되면 발령되며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거나 채집된 모기의 절반 이상이 작은빨간집모기일 경우 경보가 발령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축사 등에 서식하는 크기 4.5㎜가량인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활동이 정점에 달한다.
과거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받은 적 없는 만 18세 이상 성인 중에서도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이들 지역 활동이 예정된 경우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필리핀, 태국, 베트남, 중국, 일본 등 일본뇌염 위험 국가를 여행할 계획이 있는 이들도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아울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모기가 활동하는 4~10월 야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해야 모기에 물리는 일을 예방할 수 있다. 야간에 외출할 땐 밝은색 긴 옷이나 품이 넓은 옷을 입고 모기 기피제도 사용한다. 집 주변 물웅덩이나 막힌 배수로에서는 고인 물을 없애 모기가 서식할 환경을 없애야 한다.
박준호 기자 violator@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