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계인권기구연합은 인권위를 상대로 무더기 자료 요청을 했는데, 특히 계엄과 관련해 어떻게 대응했는지 따져보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을 앞장서서 보호했단 지적을 받는 김용원 상임위원도 집중 조사 대상에 올랐습니다.
오원석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세계국가인권기구(GANHRI), 간리가 우리 국가인권위에 요청한 자료는 열 가지에 달합니다.
인권위는 지난 2월 '계엄령으로 인한 기본권 침해' 관련 안건을 각하했습니다.
그러면서 엉뚱하게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 대통령의 방어권 보장 안건은 가결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권위의 독립성이 침해된 건 아닌지 살펴보겠다는 겁니다.
가장 크게 문제 삼은 건 지난 2023년 김 위원이 윤 일병 사망 사건 유가족을 경찰에 수사 의뢰한 일입니다.
2014년 선임들의 가혹행위로 숨진 윤 일병의 유가족이 인권위를 항의 방문했는데, 김 위원은 거꾸로, 유가족이 자신을 감금 협박했다며 경찰에 수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김 위원은 군 인권을 책임지는 군 인권관을 겸하고 있어 비판이 컸습니다.
병사의 인권엔 소극적이었던 김 위원은 최근 계엄을 주도한 사령관들의 불구속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간리의 인권기구 등급은 1993년 유엔 인권총회가 채택한 '파리 원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인권기구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핵심 평가 지표입니다.
리가 요구한 자료는 모두 인권위가 독립성과 자율성을 스스로 훼손했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겁니다.
인권위는 간리 요청에 따라 오는 6월 1일까지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영상취재 정철원 김진광 / 영상편집 이지혜 / 영상디자인 조성혜]
◆ 관련 기사
[단독] 의심받는 '한국 인권위'…국제기구 "독립적 임무수행 능력 우려"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40431
오원석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