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 공청회서 역할 확대론 제기
방위비 분담금 포괄적 시각 주문
“재정 외 동맹국 기여 부분도 봐야”
지난 20일 경기 연천군 임진강 일대 석은소 훈련장에서 열린 한미 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을 마친 장병들이 연합부교를 건너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랜들 슈라이버 전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26일(현지시간) 상원 외교위가 개최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안보 부담 분담 주제의 공청회에서 “너무 자주 비용 분담 문제가 한 가지 숫자, 즉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로 축소되고 있다”면서 미국의 위치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지리적 난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강력한 동맹과 파트너십은 시간과 거리의 제약을 극복하는 좋은 방법”이라면서 △역내 비상 상황에 대비한 동맹국의 자체 역량 개발 △현지 기지 구축 및 영공 이용 문제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위한 동맹국의 일상적 억제 활동 등이 동맹 평가 시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우리는 부담 분담에 대해 포괄적 시각을 갖고 (동맹의) 공이 인정받을 만한 공에서는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 석좌는 대만 위기 상황과 관련, “대만에 대한 기회주의적 침략이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서의 (미국) 군의 주둔, 후방 지원, 북한을 억제하는 한국의 능력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는 정치적인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