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형 산불이 덮친 마을에 살던 주민들은 심각한 피해로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는데요.
피해 상황을 전해달라는 제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양동훈 기자가 제보 영상을 모아 보도합니다.
[기자]
인적 없이 평화로워 보이던 산골 마을로
갑자기 불똥이 잔뜩 날아듭니다.
고작 2분여 만에 멀리서 불이 타오르는 모습이 보이고,
잠시 뒤에는 가로수 앞 풀숲에서 무섭게 불이 번져나갑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을 곳곳에서 화염이 치솟아 오릅니다.
제보자는 불이 번질 당시 마을에 있었던 어머니가 겨우 대피에 성공해 목숨을 건졌지만 집을 잃고 충격에 휩싸여 있다고 전했습니다.
[함슬기 / 경북 영덕군 영덕읍 : 도랑이 있는데 그쪽으로 해서 이제 기어서 다른 동네까지 이제 1시간 정도 걸어가셨다고 해요. (어머니께서) 지금 트라우마가 너무 심하다 보니까 지금 뭔가 이렇게 기력이 많이 없으신 것 같거든요.]
사방이 불타는 도로를 달려 겨우 탈출한 시민도 있습니다.
도로 바로 옆에서 커다란 불기둥이 솟구쳐 오르고, 불타는 언덕은 마치 화산이 끓는 것 같은 모습입니다.
제보자는 사방에서 불길이 휘날려 오금이 저릴 정도였지만 돌아갈 수 없어 계속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경북 영덕군 지품면 피해 주민 : 주변에 막 좀 불바다처럼 온통 불밖에 없고, 마지막에 나올 때는 약간 생명에 위협이 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곳곳에 불길이 번져 건물들이 타오르고 있는 산골 마을에서 트랙터 한 대가 흙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단수로 물이 나오지 않자 마을 주민이 직접 임기응변으로 흙을 뿌려가며 산불이 건물에 옮겨붙지 않게 애쓰고 있는 겁니다.
다음날 해가 뜨자 쑥대밭이 된 마을이 드러났습니다.
건물 수십 채가 불에 타 무너져 내렸고, 줄지어 선 사과나무들은 앙상하게 탔습니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피해 주민 : (지금도) 건물 더미에서 연기가 조금씩 피어오르는 곳이 있어요. (마을에) 인삼밭을 경작하시는 분도 계시고 배밭을 농사짓는 분도 계신데 거의 다 탔죠.]
외벽이 검게 그을린 건물 창문이 모조리 깨졌습니다.
깨진 창 안쪽으로 보이는 건물 내부는 완전히 다 타 아수라장입니다.
[최영락 / 경북 영덕군 지품면 피해 주민 : 아버지가 지으신 집인데 25년을 살았습니다. 진짜 말이 안 나옵니다. 너무 화도 안 나고 너무 어이가 없어서….]
평화롭던 일상을 덮친 화마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본 시민들은 그저 망연자실한 채 도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영상편집 : 변지영
화면제공 : 시청자 제보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대형 산불이 덮친 마을에 살던 주민들은 심각한 피해로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는데요.
피해 상황을 전해달라는 제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양동훈 기자가 제보 영상을 모아 보도합니다.
[기자]
인적 없이 평화로워 보이던 산골 마을로
갑자기 불똥이 잔뜩 날아듭니다.
고작 2분여 만에 멀리서 불이 타오르는 모습이 보이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을 곳곳에서 화염이 치솟아 오릅니다.
제보자는 불이 번질 당시 마을에 있었던 어머니가 겨우 대피에 성공해 목숨을 건졌지만 집을 잃고 충격에 휩싸여 있다고 전했습니다.
[함슬기 / 경북 영덕군 영덕읍 : 도랑이 있는데 그쪽으로 해서 이제 기어서 다른 동네까지 이제 1시간 정도 걸어가셨다고 해요. (어머니께서) 지금 트라우마가 너무 심하다 보니까 지금 뭔가 이렇게 기력이 많이 없으신 것 같거든요.]
도로 바로 옆에서 커다란 불기둥이 솟구쳐 오르고, 불타는 언덕은 마치 화산이 끓는 것 같은 모습입니다.
제보자는 사방에서 불길이 휘날려 오금이 저릴 정도였지만 돌아갈 수 없어 계속 달렸다고 말했습니다.
[경북 영덕군 지품면 피해 주민 : 주변에 막 좀 불바다처럼 온통 불밖에 없고, 마지막에 나올 때는 약간 생명에 위협이 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단수로 물이 나오지 않자 마을 주민이 직접 임기응변으로 흙을 뿌려가며 산불이 건물에 옮겨붙지 않게 애쓰고 있는 겁니다.
다음날 해가 뜨자 쑥대밭이 된 마을이 드러났습니다.
건물 수십 채가 불에 타 무너져 내렸고, 줄지어 선 사과나무들은 앙상하게 탔습니다.
외벽이 검게 그을린 건물 창문이 모조리 깨졌습니다.
깨진 창 안쪽으로 보이는 건물 내부는 완전히 다 타 아수라장입니다.
[최영락 / 경북 영덕군 지품면 피해 주민 : 아버지가 지으신 집인데 25년을 살았습니다. 진짜 말이 안 나옵니다. 너무 화도 안 나고 너무 어이가 없어서….]
평화롭던 일상을 덮친 화마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본 시민들은 그저 망연자실한 채 도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영상편집 : 변지영
화면제공 : 시청자 제보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