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미국 내 자동차 가격 3천~6천 달러 상승 전망
"경유지마다 세금 중복 부과…여파 가늠 어려워"
자동차주 일제히 하락…뉴욕 3대 지수 하락 마감
"경유지마다 세금 중복 부과…여파 가늠 어려워"
자동차주 일제히 하락…뉴욕 3대 지수 하락 마감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3일부터 모든 수입산 자동차 및 핵심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하자 현지 언론은 자동차 가격 급등 가능성을 경고했고, 글로벌 자동차업체의 주가는 일제히 하락세로 반응했다.
2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폭스비즈니스 등에 따르면, 자동차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는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 등 주요 무역 파트너국에도 관세 면제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최대 6천 달러(약 880만 원)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산 차량은 평균 3천 달러, 캐나다·멕시코산 차량은 평균 6천 달러가량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4월 중순까지 북미 지역 전반의 차량 생산에 차질이 발생해 하루 약 2만 대의 생산 감소가 이어지고, 전체 생산량의 약 30%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WP는 "금속 원자재부터 엔진에 이르기까지 관련 부품은 자동차에 장착되기 전에 북미 전역을 여러 차례 이동한다"며 "경유지마다 세금이 부과될 경우, 여파가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지난해 자동차 수입 규모는 약 4740억 달러(약 695조 원)에 달하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멕시코, 일본, 한국, 캐나다, 독일 등 주요 동맹국들이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전격적으로 발표된 만큼,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산업 전략 전문가인 수잔 헬퍼 전 백악관 산업 전략 수석 고문은 WP와의 인터뷰에서 "국제 공급망이 완벽하진 않지만, 이번 관세 발표는 사실상 예고 없이 이뤄져 산업계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완성차 업체들도 타격을 입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정규장에서 3.12% 하락한 데 이어, 시간 외 거래에서 6.18% 추가 하락했고, 스텔란티스는 정규장에서 3.55%, 시간 외 거래에서 4.33% 떨어졌다. 전기차 대표주자인 테슬라도 5.58% 하락한 데 이어 시간 외에서 1.31% 더 떨어졌다.
이날 뉴욕증시 3대 지수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4% 떨어졌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12% 하락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지수도 0.31% 하락 마감했다.
미국 경제전문 채널 CNBC는 "트럼프발 관세 공포가 뉴욕증시를 짓눌렀다"며 "테슬라, GM 등 자동차주의 급락 여파가 아시아 증시에도 이어져,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주들도 장 초반부터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