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30만대 뱉리 시스템 생산
HMGMA 전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자동차그룹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을 계기로 그룹 계열사, 합작사, 협력사를 연계하는 ‘미래차 클러스터’를 형성했다.
26일(현지시간)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그룹은 HMGMA 완성차 공장, 계열사 및 합작사 건립을 위해 총 80억 달러(약 11조7200억 원)를 투자 중이다. HMGMA의 전체 부지 면적은 1176만㎡(약 355만 평)로 여의도의 약 4배에 달한다. 부지 내에는 프레스-차체-도장-의장라인으로 이어지는 완성차 생산공장뿐 아닌 차량 핵심부품 계열사 및 배터리셀 합작 공장도 자리잡았다.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 현대트랜시스 등 4개 계열사가 HMGMA 부지 내에서 공장을 운영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연간 30만 대의 배터리 시스템 및 부품 모듈을 생산해 HMGMA로 공급한다. 현대모비스의 글로벌 생산거점 가운데 최대 규모다.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팩,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등으로 구성된 전기차 핵심 부품이다.
현대글로비스는 부지 내 통합물류센터(CC)와 출고 전 완성차 관리센터(VPC)를 운영한다. 자율비행 드론이 부품 재고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고 수요 기반 데이터를 통해 부품 수량을 예측, 적기에 HMGMA에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HMGMA에서 생산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하고 있는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제철은 부지 내 조지아 스틸서비스센터(SSC)에서 경량화와 충돌 안전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초고강도강 소재의 자동차용 강판을 가공해 HMGMA에 공급한다. 현재, 연간 자동차 20만 대 분의 강판 공급이 가능하며, 향후 40만 대 분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HMGMA는 국내 부품업체의 미국 진출 및 판매 확대를 견인하며, 협력사 글로벌 진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HMGMA는 같은 기아 조지아 공장(KaGA)과는 약 420㎞,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도 약 510㎞ 떨어진 거리에 인접해 있어 부품업체들의 안정적 공급처 확보가 가능하다. HMGMA를 계기로 17개 협력사가 조지아주에 신규 혹은 추가 진출해 판로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투데이/엘라벨(미국 조지아주)=권태성 기자 (tskw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