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혹스러운 與…판사 성향 의혹 제기까지
'이재명 심판론' 전략 타격 불가피
尹 탄핵 각하 촉구 목소리 커질 전망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기사회생에 '이재명 때리기'에 당력을 집중해 온 국민의힘은 혼란에 빠졌다. '반이재명' 정서에 기대어 탄핵 정국을 헤쳐 나가고 있던 당의 전략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사진은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 선고 직후 백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기사회생에 '이재명 때리기'에 당력을 집중해 온 국민의힘이 혼란에 빠졌다. '반이재명' 정서에 기대 탄핵 정국을 헤쳐 나가고 있던 당 전략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점을 부각할 수는 있지만 이전만큼 그 효과를 끌어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 대표가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자 국민의힘 내에서는 당혹감이 엿보였다. 당 지도부는 판결과 관련해 공식 기자간담회 없이 백브리핑과 논평을 통해서만 입장을 전했다. 지난해 11월 이 대표가 1심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직후 당시 추경호 원내대표가 곧바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입장을 밝힌 것과는 대비됐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선고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단히 유감스럽다. 앞으로 대법원에서 신속하게 633원칙(1심 6개월 ·2심 3개월·3심 3개월)에 따라 재판해서 정의가 바로잡히길 기대한다"는 짧은 입장만을 밝혔다.
항소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판을 마친 뒤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기각을 기점으로 여론전에서 우위를 선점하는 듯했던 국민의힘이 또다시 위기를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표의 피선거권 박탈형 유지를 확신해 왔던 만큼 이 대표를 비판하는 데 힘써왔지만 무죄 판결로 인해 당분간 힘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되더라도 이 대표의 '대법원 확정판결' 가능성을 부각하고자 했던 전략에도 차질이 생겼다.
당분간 사법부의 빠른 판단을 촉구함과 동시에 집권여당으로서 행보를 보이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당 관계자는 "산불로 인한 재난 상황에서 정쟁은 접어두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고민하며 민생을 챙기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무죄 판결을 기점으로 당내 윤 대통령의 탄핵 각하·기각을 촉구하는 분위기에 더욱 불이 붙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조기대선이 열리기라도 한다면 사법리스크를 일부 덜어낸 이 대표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는 "현실적으로 차라리 윤 대통령이 돌아와 조기대선이 아예 없어야 한다는 판단하에 윤 대통령의 탄핵 각하·기각에 대한 목소리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sum@tf.co.kr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