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전쟁 난 마을처럼 '폐허'…가축과 야생동물도 '봉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불길이 잡히고 난 뒤면, 길고 긴 복구와 회복의 시간이 필요할 겁니다. 화마가 휩쓸고 간 곳은 말 그대로 처참했습니다. 수 많은 마을이 폐허로 변했고, 인적 없는 집에는 죽은 가축들이 쓰러져 있었습니다.

김승돈 기자가 피해 지역을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안동의 한 시골 마을. 조립식 건물 여러 채가 폭삭 주저앉았습니다. 가까이 가보니 건물 안에는 불씨가 남아 연기가 나고 있습니다.

마당에 있는 농기계와 차량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에 탔고, 차량 유리창은 아예 녹아 내렸습니다.

이곳에 살던 50대 여성은 불길을 피하지 못하고 결국 숨졌습니다.

주인을 잃은 강아지는 검게 그을린 채 집 주변을 맴돌고 있습니다.

인근의 한 축사는 지붕이 무너졌습니다. 사람만 겨우 빠져나왔는데, 다행히 소 대분이 살았습니다.

김광한 / 안동시 임동면
"소는 뭐 그냥 어쩔 도리가 없어 일단 사람이 피해야 되니까..."

경찰이 마을을 돌아다니며 집집마다 수색을 합니다.

"계십니까? 계십니까?"

10여 가구가 모여 사는 이곳은 마을 전체가 아예 불에 탔습니다.

집들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 내렸고 전봇대가 쓰러져 전기마저 끊겼습니다.

안윤혜 / 안동시 임하면
"(연기가) 계속 뿌옇고 물도 안 나오고, 가스도 안 되고, 전기도 안 되고 살기 너무 힘들어요."

250년 넘은 느티나무도 희생됐습니다.

검게 탄 과수원 옆에는 죽은 고라니 한 마리가 쓰러져 있습니다.

또 다른 마을로 들어가는 길은 나무가 쓰러져 아예 막혔습니다.

서범석 / 안동시 수상동
"전화가 지금 안터져요. 그래서 잠시 바깥쪽으로 전화가 터지는 쪽으로 가서 (장비를 불러야 해요.)"

불길은 지나갔어도 산골 마을은 여전히 매케한 연기에 갇혀 있습니다.

TV조선 김승돈입니다.

김승돈 기자(ksd45@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