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단 남아, 조속히 결론짓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판결이 뒤집혔다. 서울고법 형사6-2부는 26일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을 열고 이 대표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2심 재판부는 이 대표가 지난 2021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고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모른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과 경기 성남시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용도지역 상향 변경이 국토교통부 협박으로 이뤄졌다고 발언한 것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11월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됐는데, 2심이 뒤집은 것이다. 1심 재판부의 선고는 의원직을 잃고 피선거권도 10년간 박탈되는 수준이다. 사실상 이 대표의 정치생명이 끝날 수 있는 형량이었다. 1심과 2심 재판부의 판단이 이토록 극과 극으로 달리 나오는 것을 수긍하기 힘들다는 여론이 적지 않다.
일단 2심 판결에 여야는 승복해야 하나, 2심의 무죄 선고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모두 해소됐다고 보는 건 섣부르다. 아직 최종심인 대법원 판결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상고할 것이다. 1심과 2심 판단의 차이가 너무 커 대법원의 최종 판단을 받아볼 필요성은 더 커졌다. 대법원에서 파기 환송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윤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되면 대선을 두달 안에 치러야 한다. 선거법대로라면 이번 이 대표 사건에 대해 대법원은 6월 26일경까지는 판단을 내려야 하지만, 그대로 진행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일단 이 대표는 2심에서 무죄가 선고됨으로써 출마에 대한 부담을 덜었다.
이 대표 관련 사건은 더 있다. 이번 사건을 포함해 총 8개 사건으로 기소돼 5개 재판을 받고 있다. 변수는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 국민들은 이 대표에 대한 재판 결과를 놓고 크게 혼란스러울 것이다. 민주당은 이번 2심 판결을 확정판결처럼 호도해서는 안 될 것이다.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야기된 국정혼란이 극에 이르렀고, 국론분열은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판결을 침소봉대하며 판 뒤집기를 위한 선동수단으로 이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