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가 학생 881명 중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학생 398명(45%)에게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 의대의 등록 마감과 제적 예정 통보가 줄줄이 이어지며 '무더기 제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의료계 내부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의료계 대표 단체 격인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와 대학에 제적 시한 연기를 요청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의 경우 총 881명 중 398명에게 제적이 통보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등록을 마감한 전남대는 올해 기준 총원이 893명인데, 제적 예정자가 650명에 이른다.
이처럼 대거 제적이 예상되자 의대 교수들은 물론 학생들 사이에서도 복귀해야 한다는 취지의 소신 발언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25일에는 고려대 의대 전 학생대표 5명이 실명을 내걸고 "더 이상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냈다. 복귀 의대생들의 자유의사가 존중받아야 한다는 취지로 읽힌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25일 의대생과 학부모를 향해 "더 이상 망설일 시간이 없다. 복귀 시한 이후에는 학생 보호라는 의대 원칙과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으니 부디 복귀해달라"고 재차 호소했다.
다른 의대들 역시 서한은 물론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설득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의 의료개혁을 반대하며 의정갈등의 중심에 서 있는 의협이 나서 학생들의 대규모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 의협 간부는 "의협 내부에서도 학생들을 들어가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나오고 있다"고 전하며 "선배들은 면허도 이미 땄고 편하게 뒤에 있는데 그러면서 의대생들한테 인생을 걸라고 하면 되겠느냐"고 꼬집었다.
이런 압박에 의협은 정부에 제적 시한을 연기해 달라고 건의하는 방안을 대안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다.
의협은 이날 열리는 상임이사회에서 이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다양한 의견을 검토해볼 수 있겠지만, 결국 학생 의견을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와 대학이 원칙적이고 엄정한 처분을 강조한 상황에서 시한 연장 건의를 논의하는 게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의료계 인사는 "원칙을 지켜야 복귀 호소도 설득력이 생기는 것이지, 지금 제적 시한 연장 얘기를 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며 "(시한 연장 건의를) 정부가 수용할지도 미지수다. 기한 내 복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