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월 인구동향
출생아 수 2486명 늘어, 7개월째↑
코로나19 이후 혼인 증가 등 영향
혼인건수 0.7%↑, 신고일수 감소탓
“출산율 1~2년내 0.78명 수준 회복”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1월 출생아 수는 2만 3947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86명(1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월간 출생아 수는 작년 7월(7.8%)부터 7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증가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작년 10월(13.4%), 11월(14.3%), 12월(11.6%)에 이어 4개월째다. 합계 출산율은 0.88명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0.08명 늘었다.
출생아 수 증가 배경에는 △코로나19로 지연된 혼인 증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 거론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인 2023년 하반기부터 혼인 건수가 늘었고 30대 초반 여성이 증가한 인구구조, 그리고 2022년에 비해 작년 결혼이나 출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했다.
시도별 출생아 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서울, 부산 등 14개 시도는 증가했고 대전, 경북 등 3개 시도는 감소했다.
(자료=통계청)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산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도 늘었다. 1월 기준 2만 153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0.7%(149건) 늘었다. 월별로는 작년 4월부터 10개월 연속 증가세다. 증감률은 작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연속 두자릿수를 기록했지만 올해 1월은 미미한 증가에 그쳤다. 이는 설 연휴가 끼면서 신고일 수가 4일 감소한 영향이다. 이혼 건수는 6922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17건(-12.8%) 감소했다.
출산율 회복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저출생 대응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