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재공모 실시해야...갈라치기 행태 중단하라"
전임 국립국악원장 등 국악계 인사들이 25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관료 출신을 국립국악원장에 임명하려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움직임에 반대 의견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전혜원 기자 = 국악계 인사들이 "행정직 공무원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을 반대한다"며 "적절한 원장 선임을 위해 재공모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국립국악원 전임 원장 등으로 꾸려진 국악계 현안 비상대책협의회(이하 '비대협')는 25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국립국악원 관치행정 반대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임 국립국악원장 임명에 대한 요구사항을 밝혔다.
국립국악원장은 작년 6월부터 공석으로 선임 절차가 진행 중이다. 올해 초 인사혁신처가 추린 신임 원장 후보 3명 중 문화체육관광부 고위공무원인 유병채 국민소통실장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악계는 행정직 공무원이 국악원장에 임명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작년 12월 대통령령 개정으로 국립국악원장이 공무원도 지원할 수 있는 개방형 직위로 바뀐 점도 국악계의 의구심을 키웠다.
김희선 국립국악원 전 연구실장은 "국악원에는 이미 문체부 2급 공무원과 3~4급 공무원이 단장과 과장으로 파견돼 있다"면서 "원장까지 문체부 공무원이 온다는 것은 문체부가 국악원을 관리 대상으로만 여긴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전 연구실장은 "국립국악원장은 국악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나가는 자리"라며 "(이러한 상황은)국악계 전체를 모욕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전 원장은 "특정 학맥이 국악계의 중요한 일을 도맡아 한다는 불편한 오해를 사기에 좋은 얘기"라며 "정부의 인사검증 시스템이 얼마나 까다로운데 특정 학맥이 독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서울대 국악과는 1959년 국내 최초로 개교했고 한양대는 1972년, 이화여대는 1974년에 국악과가 개설돼 1970년대 후반에야 졸업생을 배출했다. 중앙대 국악과는 1981년에 개설됐다. 역대 원장의 취임 연령을 감안하면 사실상 2015년 이전은 서울대 출신밖에는 원장 대상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비대위는 "특정 대학 독점 주장은 사실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한다"면서 "국악계의 분열을 획책하는 악의적인 갈라치기 행태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김 전 원장은 "국악계 차세대 리더들인 국립국악원 지방 분원 원장들 3명 중 국립국악고-서울대 출신은 1명밖에 없다"면서 "특정 학맥 편중 현상은 시간이 흐르며 역량을 갖춘 이들이 늘어나면 자연히 해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전 장관이 국악계 여론조사를 거쳐 원장직의 공무원 개방에 80% 이상이 반대하면 인사 절차를 중단하겠다고 한 것에 관해선 "개헌보다 어려운 이런 식의 여론조사는 동의할 수 없다"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