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닉·삼성전자, 57조 급증…공기업 대거 흑자전환
(자료제공 = CEO스코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2023년 대비 73조 원(6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의 영업익 증가 폭이 2023년 대비 850% 넘게 늘면서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반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업황 부진 등의 여파로 배터리, 석유화학, 건설 업종은 실적이 급감했다. 건설업 불황 여파로 현대건설의 영업익은 1년 새 2조 원 넘게 줄면서, 영업익 감소 폭이 가장 컸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4년 지정 500대 기업 중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상장사 253개 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2523조 908억 원으로 2023년 2384조 262억 원 대비 5.8%(139조 646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오름세는 더 가팔랐다. 지난해 500대 기업의 영업익은 183조 6690억 원으로, 2023년의 110조 6428억 원 대비 66.0%, 금액으로는 73조 262억 원 급증했다. 또한 같은 기간 순이익도 78조 4977억 원에서 137조 59억 원으로 74.5%(58조 5082억 원) 확대됐다.
특히 AI(인공지능) 메모리 훈풍에 올라탄 SK하이닉스의 영업익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SK하이닉스의 영업익은 23조 4673억 원으로, 2023년(-7조 7303억 원) 대비 흑자전환했다. 영업익 증가 규모는 2023년 대비 31조 1976억 원에 달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이어 △한국전력공사 12조 9063억 원 △HMM 2조 9280억 원 △LG디스플레이 1조 9496억 원 △한국가스공사 1조 4500억 원 △기아 1조 592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조 408억 원 순으로 영업익 증가 규모가 컸다.
반면 현대건설은 건설 경기 부진, 원자재 가격 급등, 고환율 등 복합 악재에 직면하면서 영업익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현대건설의 영업익은 1조 2634억 원으로, 2023년 7854억 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영업익이 2조 원 넘게 줄어든 기업은 현대건설이 유일했다.
또한 전기차 캐즘, 석유화학 업황 침체 등으로 배터리·석유화학 관련 기업들도 실적이 악화했다. LG화학의 영업익은 지난 2023년 2조 5292억 원에서 지난해 9168억 원으로, 1년 만에 1조 6124억 원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도 2조 1632억 원에서 5754억 원으로, 1조 5878억 원 줄었다. 또한 △삼성SDI 1조 2701억 원 △S-Oil 9324억 원 △한화솔루션 9047억 원 순으로 영업익 감소 폭이 컸다.
공기업 업종의 영업익도 크게 개선됐다. 2023년 2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냈던 공기업은 지난해 12조 1913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운송 3조 532억 원(50.1%↑) △조선·기계·설비 1조 9472억 원(29.6%↑) △증권 1조 7412억 원(57.9%↑) 순으로 영업익 증가 규모가 컸다.
반면 석유화학 업종에서 영업익이 가장 많이 축소됐다. 또한 건설·건자재, 통신, 철강, 유통 등 업종에서 영업익 감소 폭이 컸다
goodday@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