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신뢰 2021년 후 최저
기업·소비자 심리 위축 추세 뚜렷
관세 불안→심리위축→주가 하락 우려
일각선 “설문 지표 외 측정 지표봐야”
테슬라, 2월 EU 판매량 40% 급감 불구
3%대 상승···캐시 우드 ‘10배 오를 것’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월 2일 발표될 미국의 상호관세 계획이 예상보다 적을 것이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 효과가 이어지면서 증시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2월에 이어 3월에도 미국 소비자들의 경제 자신감이 위축됐다는 소식에 상승 폭은 제한적이었다.
25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4.18포인트(0.01%) 오른 4만2587.5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9.08포인트(+0.16%) 상승한 5776.6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83.26포인트(+0.46%) 오른 1만8271.86에 장을 마감했다.
유화적인 상호관세 전망과 쪼그라든 소비자 심리 사이에서 증시는 답답한 흐름을 보였다. 컨퍼런스보드는 이날 3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전월보다 7.2포인트 하락한 92.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팬데믹 당시였던 2021년 1월 이후 4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계치는 93.5였지만 이에 미치지 못했다.
경제의 이같은 흐름에 증시보다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국채 시장이었다. 전날 약 8bp 상승했던 미국 국채 금리는 이날 또다시 하락했다.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1.7bp(1bp=0.01%퍼센트포인트) 하락한 4.026%에 거래됐다.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2.6bp 내린 4.320% 였다.
“소비자들, 경제 걱정하다 새차 사는 것” vs “주가 단기 요동 불가피”
다만 소비자와 기업 심리 둔화의 근본적인 원인이 관세 불확실성에 있고, 여전히 관세에 대한 자신감이 크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는 분석가도 있다. 캐털리스트펀드의 찰스 애슐리는 “단기적으로 시장은 요동칠 것”이라며 “어떤 정책이 시행될지 모르기 때문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투자 자산 포트폴리오의 큰 흐름에서 볼 때 둔화에 비중이 실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주식 등 위험 자산의 비중이 줄고 금 등 안전자산의 비중이 커지는 추세라는 것이다. 스테이트스트리트글로벌어드바이저스의 글로벌 금 전략책임자 아카쉬 도시는 3월 들의 금 가격 대비 S&P500 지수 비율은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는 “이런 비율의 급락이 침체 지표는 아니다”면서도 “금 등 안전자산 투자 수요는 증가한 반면 미국 예외주의, 기업 수익 낙관론이 감소하면서 자산이 재평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도시는 “이것이 미국과 세계 경제에 대한 진자 경고 신호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포지션 변경인지는 시간이 알려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금 가격은 0.3% 오른 온스 당 3025달러에 거래됐다.
━
테슬라 2월 유럽 판매량 41% 급락···주가는 저가매수세에 3.5%↑
아크인베스트의 캐시 우드 CEO는 테슬라의 주가가 5년 뒤 2600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낙관론을 폈다. 이날 종가는 288.14달러다. 우드 CEO는 “테슬라는 자동차 모델 별로 가장 경쟁력있는 모델은 아니더라도 매우 경쟁력이 있다”며 “테슬라와 BYD(비야디)는 전기차 부문에서 둘 다 선두에 있으며 로보택시까지 고려한다면 BYD는 아직 그 지점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며 테슬라의 경쟁력을 높이 샀다.
이날 가상자산은 소폭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0.3% 내렸지만 8만8035달러로 8만3000달러를 유지했다. 이더는 0.8% 내린 2072달러에 거래됐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