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7개월 연속 매도…3월 1100억 순매수 기록도 '불안'
탄핵심판 지연에 불확실성 장기화…원달러 환율 나홀로 상승
31일 공매도 재개 후 외국인 복귀 가능성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들어 코스피가 10% 가까이 상승했지만, 외국인은 4조 5천억원 규모의 순매도로 대응했다.
코스피 상승세를 이끌 외국인 투자자가 복귀할 수 있는 계기는 신속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와 공매도 재개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올해 들어 9.6% 상승했다.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신흥국 지수 상승률(5.2%)을 넘어선 기록이다.
이달 24일 기준 1100억원 순매수 중이지만, 규모가 크지 않은 탓에 지난해 8월부터 이어진 7개월 연속 매도 기록을 끊어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
외국인 복귀 여부는 신속한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와 공매도 재개가 핵심이 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금융시장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지연되면서 정치 불확실성이 장기화한 것에 발목 잡힌 분위기다. 대표적인 지표가 원달러 환율이다.
환율은 25일 주간거래에서 1470원을 돌파하는 등 '고공행진' 중이다. 올해 초 1475원에서 변화가 없는 수준이다. 6개국 주요 통화국 대비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가 올해 초 110에서 최근 104로 5%나 낮아진 것과 정반대다.
IBK투자증권 변준호 연구원은 "최소한 주식시장 내 불확실성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탄핵 선고일이 긍정적 해갈 시점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탄핵이 인용된다면 정부는 조기 대선을 준비하며 신(新)정부 기대감을 반영하면서 외국인의 자금 유입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31일 재개되는 공매도 역시 외국인 복귀 가능성을 높일 요소로 꼽힌다. 핵심은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에 대한 기대다.
지난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관찰대상국 선정 당시 한국은 제외됐다. 그 주요 이유 중 하나가 공매도 금지로 인한 시장 접근성 제한이다. 따라서 공매도 재개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가능성을 키울 전망이다.
KB증권 태윤선 연구원은 "과거 공매도 금지 및 재개는 세 차례 있었고 외국인은 공매도 재개 3개월 이후 순매수로 전환하는 흐름을 보였으며 공매도 금지 기간 감소했던 외국인 거래 비중이 증가하는 점도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태 연구원은 이어 "공매도 재개 시 단기적으로 지수 급락, 업종별 변동성 확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외국인 수급 유입 등 유동성 개선과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등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