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행 복귀에 그간 1인4역을 했던 최 부총리가 “드디어”라며 반색했지만 경기침체와 국론분열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폭풍’이라는 내우외환의 국정을 생각하면 누구 한 사람에 기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한 대행이 복귀 일성으로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뿐 누구의 꿈도 이루지 못한다. 여야와 정부가 정말 달라져야 한다”며 초당적 협력을 당부한 배경이다. 그렇더라도 통상 전문가로 정평이 나있는 한 대행이 ‘트럼프 스톰’의 돌파구를 열어야 할 사명은 막중하다. 역대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 주미 대사 등을 지내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미 의회 비준 등을 다룬 만큼 대미 통상 협상에서 국익을 지킬 해법을 선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12·3 계엄과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로 침체된 내수 회복도 한 대행의 과제다. 이를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논의는 국회에서 여야 대립으로 공전 중이다. 야당은 전 국민 1인당 25만원 소비 쿠폰 지급 등을 포함한 총 35조원 규모의 추경을 주장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취약 계층에 한정한 선별적 지원책으로 15조원 안팎의 추경을 구상하고 있다. 여야가 원하는 추경 규모가 약 20조원이나 차이 나는 상황이다. 추경이 내수 회복의 마중물이 되려면 한시바삐 정부가 절충점을 찾아 여야를 설득해야 한다.
탄핵 정국이 계속되는 상황이 역설적으로 여야 협치의 긍정적 효과를 내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 18년 만에 성사된 국민연금 모수개혁, 2026년 의대생 증원 백지화로 의정갈등 해소의 물꼬를 튼 점이 그렇다. 여야와 정부가 한발씩 양보하며 극적인 타협을 만들어냈다. 한 대행의 내각이 여야 협치의 폭을 더 넓힌다면 전화위복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