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창건 80주년, 9차 당 대회 등 국가적 이벤트 짜고 있을 것" 분석 제기
(평양 노동신문=뉴스1) = 조용원 북한 노동당 조직비서가 지난 1일 열린 강동군, 장연군, 부령군, 김정숙군, 개풍구역 지방공업공장과 종합봉사소, 은산 종이공장건설 착공식에서 연설하는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최측근으로 늘 옆자리를 지키던 조용원 당 조직비서가 약 한 달간 공개석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노동당 창건 80주년 행사, 경제·국방 발전 5개년 계획 완수 선언 등 올해 예정된 중요한 국가적 행사를 앞두고 '특별 임무'가 주어졌을 가능성이 25일 제기됐다.
통일부에 따르면 조 비서의 공개활동은 지난 1일 개풍구역 지방공업공장과 종합봉사소 건설 착공식 보도 이후 식별되지 않고 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락원군바닷가 양식사업소, 신의주온실농장 착공식, 평양종합병원 시찰 등 김정은 당 총비서의 주요 공개활동에 모두 동행했는데, 이달 들어 갑자기 자취를 감춘 것이다.
3월 들어 김 총비서는 △온포근로자휴양소, 조선소 함선건조사업 현지지도(3월 8일) △화성지구 살림집 건설장 시찰(3월 16일) △지대공미사일 발사, 남포조선소, 인민반장 대표자와의 기념사진 촬영(3월 21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 접견(3월 22일) 등의 공개활동을 소화했다. 그러나 이 활동에서 조 비서의 모습은 포착되지 않았다.
당 간부들의 평판과 인사를 다루는 조직부문의 총괄비서인 조용원은 김 총비서의 '비서실장' 혹은 '비선 실세'라고 여겨질 정도로 핵심 최측근이다. 지난 2021년 26회, 2022년 43회, 2023년 30회로 최근 3년간 김 총비서의 공개행보에 가장 많이 동행한 수행원이기도 하다.
북한에 없는 직책인 '비서실장'이라는 그의 별명은 당 내부의 기강을 챙기는 조직비서로서의 본연의 업무를 성실히 소화함은 물론, 김 총비서의 외교활동에서도 옆자리를 지키면서 굳어졌다. 조 비서는 지난 2018년 평양 남북정상회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과 이듬해 하노이 북미회담 때마다 김 총비서의 일거수일투족을 챙겼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조용원이라는 인물의 상징성과 역할을 고려하면 특별 임무를 부여받아 별도의 사업을 진행 중일 가능성이 있다"며 "당 창건 80주년, 9차 당 대회 등 굵직한 행사에서 공개될 주요 정책 기조를 잡고 있을 수 있다"라고 추정했다.
김인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조용원의 역할 중 하나가 조직 전략을 짜는 것"이라고 짚었다.
조 비서의 잠행을 북한의 선전사업 컨트롤 타워인 리일환 당 선전비서의 동향과 연계해서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