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개혁안에 반대하는 30·40세대 여야 의원들이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 나은 연금개혁을 요구하는 국회의원’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국민의힘 김재섭, 개혁신당 이주영,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개혁신당 천하람,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국민의힘 우재준 의원.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야 3040 국회의원 8명은 지난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대해 “지금 국민연금 개혁 제도 전반이 청년에 불공평하다”고 23일 주장했다. 이들은 연금개혁 과정에 청년 참여 확대, 국민연금 기금에 대한 국고 투입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반대 투표를 한 김용태·김재섭·우재준 국민의힘 의원, 이소영·장철민·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천하람·이주영 개혁신당 의원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소속된 정당은 다르지만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기에 정파를 넘어 더 나은 연금개혁을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섰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민연금은 더 지속가능해야 하고, 연금개혁은 국민 모두에게 공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0~40대 의원들이 주축이 된 모임은 지난 20일 통과된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청년세대에 불공평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여기 모인 의원들이 이번 모수조정안에 반대표를 던진 이유는 연금개혁으로 가장 큰 부담과 책임을 지게 되는 청년세대를 설득하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 담기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이라며 “이번 모수조정을 요약하면 지금 당장 보험금 혜택을 인상하되 후세대의 보험료율을 13%까지 올리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먼저 청년세대 설득을 위한 개혁방안으로 국회 연금개혁 논의 과정에 청년세대의 참여를 보장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국회의 평균 연령은 57세”라며 “국회 연금특위 구성에서부터 30대와 40대 의원들이 절반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들은 “이번 모수조정에 따른 기금 고갈 예상 시점은 2060년대 중후반인데 올해 스무 살인 청년은 2070년부터 연금을 받게 된다”며 청년 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필요성을 강조했다.
여권 일각에서 주장하는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 요구에는 선을 그었다. 이소영 의원은 “그(거부권) 부분에 대해서까지 얘기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구조개혁 방안으로 거론되는 자동조정장치에 대해 천하람 의원은 “앞으로 충실히 논의돼야 한다는 일반론이고 자동조정장치에 대해 합의를 이룬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장철민 의원은 “새 대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문제의식은 지금 국민연금 개혁 제도 전반이 청년에 불공평하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문광호 기자 moonlit@kyunghyang.com, 유새슬 기자 yoos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