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울산 글로벌 인력양성센터 강의실에서 교육생들이 한국어 수업을 받고 있다. 울산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 '사상'이 뭘까요? 일반적으로는 '생각'이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조선소 현장에서는 용접 후 튀어나온 부분을 그라인더라는 장비로 다듬는 것을 말합니다."
지난 18일 문을 연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의 '울산 글로벌 인력양성센터' 강의실. 우즈베크 각 주에서 선발된 훈련생들이 속속 강의실로 입장하자 강사가 한국 조선업 현장에서 쓰이는 각종 용어를 칠판에 적었다. 강사는 사상·도장·발판 등 교육생들이 선발된 각 직종의 의미를 설명한 뒤 "앞으로 2개월간 조선소 현장에서 쓰이는 많은 용어를 배우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동일 HD현대중공업 동반성장실장(전무)은 "조선소 현장에서 외국인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소통이었다"며 "교육과정에 현장 용어 비중을 확대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우즈베크 현지에서 울산 글로벌 인력양성센터가 18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울산시, HD현대중공업, 한국·우즈베크 정부가 협력해 인력난을 겪는 한국 제조업에 외국 노동력을 공급하는 새로운 개념의 인력 양성 사업이 닻을 올린 것이다.
그동안 비전문취업(E-9) 비자를 받은 외국인은 자신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고 한국 산업 현장에 배정됐다. 일자리에 대한 실망감과 생각보다 센 노동 강도 때문에 직장을 이탈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울산시와 HD현대중공업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울산형 고용허가제'를 추진했다. 지방자치단체와 인력난을 겪는 기업이 힘을 모아 사전에 해외에서 인력을 양성하고 교육과정을 마치면 E-9 비자를 발급해 채용하는 방식이다. 이에 공감한 고용노동부는 정부 차원에서 '조선업 맞춤형 외국 인력 양성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용부가 훈련 수료자를 기업에 우선 알선함으로써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는 물론, 민간 비자 알선 업체의 과도한 수수료 문제도 개선될 전망이다.
이 센터 훈련생 대부분의 나이는 20대 중후반이다. 대학을 졸업한 고학력자도 적지 않았다. 여성 훈련생 3명도 포함됐다. 한 여성은 한국에서 전문 통역사 자격증을 취득해 활동하기도 했다. 센터에서 만난 카리도브 사르도르 씨(32)는 부산의 4년제 대학교에서 에너지 분야 학사·석사 과정을 마치고 우즈베크에서 대학 강사로 일하다가 이번 교육과정에 지원했다고 전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한국 파견 인력의 우리 사회 적응을 위해 우즈베크 정부가 신변을 보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페르가나 서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