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4·3평화공원 행방불명인 표석
제주4·3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는 소식에 제77주년 제주4·3희생자추념일을 앞둔 제주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제주 4·3사건 기록물''에 대해 등재를 권고했습니다.
최종 등재 여부는 4월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되는 가운데 지역사회가 다 함께 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염원해온 제주에서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해당 기록물은 4·3 관련 기록 총 1만 4천673건으로 당시 공공기관에서 만들어진 각종 문서와 재판 기록, 도서, 엽서, 소책자, 비디오, 오디오 등입니다.
주요 목록은 군법회의 수형인 기록, 도의회 4·3 피해신고서, 4·3위원회 채록 영상, 현기영의 소설 '순이 삼촌', 정부 진상조사 관련 기록물 등입니다.
제주4·3 군법회의 수형인명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3은 70여 년 전 한국 현대사의 비극입니다.
정부 진상조사보고서에는 제주4·3 당시 적게는 1만 4천 명, 많게는 3만 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잠정 보고됐습니다.
좁은 섬에서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했고, 그 후유증을 극복하고 진상규명을 하는 데 오랜 세월이 걸리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2018년부터 4·3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이후 등재신청서를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의 3차례 심의 끝에 2023년 10월 국내 신청 대상으로 선정됐고, 같은 해 11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신청서 제출 후 지역사회에서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염원하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9월 독일과 영국에서 4·3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특별전과 심포지엄을 열었습니다.
제주도의회는 지난 2월 제435회 임시회에서 '제주 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촉구 결의안'을 의결했습니다.
결의안에는 4·3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가유산청,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적극적인 홍보와 국제적 협력을 당부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제주도는 "최종 등재에 성공할 경우 4·3의 역사적 의미와 평화·인권의 가치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은 "4·3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다면 4·3의 평화와 상생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최종 등재될 수 있도록 도의회에서도 끝까지 힘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류희준 기자 yooh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