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월17일 일본 가와사키 게이힌 공업지대 공장 근처에서 작업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기준금리를 0.5%로 동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의 영향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은행은 19일까지 이틀간 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0.5% 정도’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일본은행은 회의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각국 통상정책 움직임과 그 영향을 받은 해외 경제, 물가·자원 가격 동향 등 일본 경제·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고, 기준금리를 서서히 올리며 저금리 정책에서 탈피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기준 금리를 0.25%에서 17년 만에 최고 수준인 0.5%로 인상했다.
다만 앞서 일본은행이 경제와 물가가 예상한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면 금리를 더 올리겠다고 거듭 표명해 온 만큼 올해 안에 추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쌀값이 급등하는 등 물가가 뛰고 있다는 점도 금리 인상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로이터통신이 조사해 이날 발표한 일본 제조업체의 3월 기업 심리 지수는 -1점으로 전달(3점)보다 4점 내려갔다. 기업 심리 지수가 마이너스로 떨어진 건 지난해 12월(-1점) 이후 3개월 만이다.
기업 심리지수가 0 미만으로 내려간 것은 사업 전망에 대해 ‘비관적’이라고 답한 제조업 관계자가 ‘낙관적’이라 답한 사람보다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이터통신은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우려와 중국 경기 침체 등 영향으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