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적반하장격으로 전쟁 억제력 보유 문제 삼아"
美 비판 기조 유지 "세계에서 유일한 핵무기 사용국"
정부 "억지 주장" 전문가 "트럼프 거명없이 수위 조절"
캐나다 퀘벡주서 열린 G7 외교장관회의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이 최근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의 북한 비핵화 요구를 강하게 비판하며 핵 무력 강화를 거듭 강조했다. 미국을 향해서는 '세계에서 유일한 핵무기 사용국'이라고 규정하는 등 대미 비난 기조를 이어가면서도 트럼프 행정부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는 '낮은 수위'의 대응을 유지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17일 조선중앙통신 담화에서 "G7성원국들이 적반하장격으로 주권 국가의 정의로운 전쟁 억제력 보유를 문제 시 하는 데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시하며 우리 국가의 주권과 내정에 대한 그 어떤 침해도 절대로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앞서 14일(현지시간) G7 외교장관들이 공동선언문을 통해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에 따라 모든 핵무기와 기타 대량살상무기,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명시한 데 따른 반발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우리의 핵 무력은 국가의 주권과 영토 완정, 근본 이익을 수호하고 조선 반도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전쟁을 방지하며 세계의 전략적 안정을 보장하는 정의의 위력한 수단으로 영존할 것"이라며 자신들의 핵 보유를 정당화했다.
담화와 관련해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은 불법적인 핵 개발의 이유를 외부의 탓으로 돌리며 핵 보유를 정당화하려고 억지 주장을 계속해 왔다. 이 같은 적반하장식 억지 주장은 북한의 새롭지 않은 상투적인 반응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최근 북한은 연이어 위협적인 메시지를 담은 담화와 논평을 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북한 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직접 언급은 피하며 압박 강도를 조절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교대학원 교수는 "담화에선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거명없이 수위 조절을 하는 느낌이 있다"며 "북·미 대화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미국에 한·미군사훈련 중단 등 실제 행동부터 보이라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아주경제=송윤서 기자 sys0303@aju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