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방송 프로그램 두 개 이상 OTT에 공급
퀵VOD 서비스…이용자의 실시간 시청 대체
"매출액과 연동한 콘텐츠 대가 산정 필요"
[사진=한국방송학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유료방송 사업자가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매출액 증감과 연동한 콘텐츠 대가 산정 등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내 방송채널 사업자들이 유료방송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에 콘텐츠를 동시 공급하며 유료방송 가입자 이탈률을 높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7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는 '유료방송 콘텐츠 거래체계·대가산정 기준 마련 필요성'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정재민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황용석 건국대학교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교수, 김헌 한양대학교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연구진은 유료방송 시장 경쟁력 유지를 위해 전년 대비 몇 % 인상·인하 방식 기준의 거래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구진은 "콘텐츠 유통 플랫폼이 급증하는 현 시점에서 해당 방식의 거래는 유료방송생태계 지속이 불가능하다"며 "독점 콘텐츠 여부 등과 같은 요인뿐 아니라 매출액과 연동한 콘텐츠 대가 산정 등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이런 상황은 OTT 플랫폼과 유료방송 간 대체성을 증가시켰다"며 "유료방송 사업자의 시장 점유율 하락과 가입자 이탈을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아주경제=나선혜 기자 hisunny20@aju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