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3 (목)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이스라엘, 시리아 남부 ‘무기한 점령’ 재확인···“시리아 대통령궁 내려다 볼 것”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4일(현지시간) 시리아 남부 헤르몬산에 이스라엘군 차량이 세워져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자국 국경과 접한 시리아 남부 영토를 ‘무기한 점령’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시리아의 정치적 혼란과 이스라엘의 확실한 ‘뒷배’ 역할을 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귀환을 틈타 50년 전 양국이 맺은 휴전협정을 깨고 영토 확장 야욕을 노골화한 것이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12일(현지시간) 시리아 남부 헤르몬산 정상에 있는 이스라엘군 진지를 찾아 “이스라엘은 시리아에 무기한으로 머무를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스라엘군의 주둔이 이스라엘 북부와 국경지역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매일 아침 (아흐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이 다마스쿠스의 대통령 궁에서 눈을 뜰 때, 그는 이스라엘군이 헤르몬산의 정상에서 그를 내려다보고 있는 것을 볼 것”이라고 도발했다.

지난해 12월8일 시리아 반군 연합이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을 몰아내고 수도 다마스쿠스에 진입하며 시리아 정권이 무너지자, 이스라엘은 이틀 뒤 시리아 영토 내 유엔이 감시해온 ‘비무장 완충지대’에 탱크를 진격시키며 50년 만에 이곳을 침공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헤르몬산의 이스라엘군 진지를 방문해 “이스라엘의 안보를 보장하는 다른 합의가 있을 때까지” 이곳에 자국군을 주둔시키겠다고 말하는 등 장기 점령을 시사한 바 있다.

헤르몬산은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 당시 시리아로부터 빼앗은 골란고원 일대 비무장 완충지대의 북쪽 끄트머리에 위치해 있다. 과거 시리아군 진지가 있었으나, 1974년 체결된 양국 간 휴전협정에 따라 비무장 완충지대로 지정되면서 시리아군이 철수하고 50년간 유엔휴전감시군(UNDOF)이 주둔해왔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알아사드 정권 붕괴로 1974년 휴전협정이 무효가 됐다고 주장하며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자국군을 진군시켰다. 아울러 시리아 남부의 군사시설을 파괴하겠다며 수십 차례 공습도 단행했다.

이스라엘은 지난해 말 진군 당시 국제사회의 거센 비판이 일자 “임시 조치”라고 항변했다가, “이번 겨울 내내”(카츠 장관) 주둔하겠다고 말을 바꿨고, 얼마 후엔 “합의가 있을 때까지”(네타냐후 총리) 자국군을 시리아에 주둔시킨다고 했다. 그러다 올해 들어선 대놓고 “무기한 점령”을 선언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국제법을 위반한 ‘침략 행위’라는 비판에도 이곳 점령 야욕을 숨기지 않는 것은 카츠 장관의 언급처럼 헤르몬산 봉우리가 레바논, 시리아 영토 모두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이다. 다마스쿠스와 불과 35㎞ 떨어져 있으며,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의 근거지인 레바논 동남부와 맞닿아 있다.

이스라엘은 시리아로부터 빼앗은 골란고원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이곳에 유대인 정착촌을 확대하는 계획 역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을 제외한 국제사회는 이스라엘의 골란고원 점령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국제법상 골란고원은 여전히 시리아 영토다. 그런데도 이스라엘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도 골란고원 반환을 거부하고 실효 지배를 굳혀 왔다.

이스라엘이 2019년 ‘골란고원은 이스라엘 영토’라는 포고문에 서명하며 이스라엘 손을 들어줬던 트럼프 대통령의 귀환과 시리아의 혼란을 틈타 영토 확장 야욕을 본격화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 이스라엘, 트럼프 믿고 폭주하나···골란고원 정착촌 확대 발표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161504001


선명수 기자 sm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