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품값 미반영… 계란 품귀도 변수
미국 일리노이주 글렌뷰의 한 식료품점에서 계란 가격을 확인하고 있는 고객.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미국의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1월보다 둔화했다. 그러나 관세 인상 효과가 아직 반영되지 않은 수치다. 계란값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기대를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 노동부는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같은 달 대비 2.8% 상승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서는 0.2% 상승했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를 각각 0.1%포인트 밑돈 수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3.1%, 전월비 0.2% 각각 상승했다. 역시 전문가 전망치를 각각 0.1%포인트 하회했다.
1월까지 넉 달간 지속된 오름세가 꺾였다. 지난해 9월 2.4%까지 떨어졌던 연간 CPI 상승률은 10월 2.6%로 반등했고, 오르막은 11월(2.7%), 12월(2.9%)을 거쳐 올 첫 달까지 이어졌다. 수치가 3.0%까지 치솟았다.
변수는 관세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2월 4일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달 4일 추가 관세율을 20%까지 끌어올렸다. 기존 세율까지 반영하면 현재 중국산 제품에 붙는 관세는 45%에 이른다. 여기에 이날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가 매겨진다. 다음 달 2일에는 상호 관세(상대국 관세 수준에 맞춰 자국 관세 조정)와 함께 자동차·농산품 등 대상 품목 관세 부과가 예고돼 있다. 멕시코, 캐나다산 대상 25% 관세도 대기 중이다.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 국내 경쟁 제품 가격도 동반 상승한다.
물가 반등이 경기 침체를 촉발하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불안감은 다소 줄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68%로 반영했다. 전날보다 7%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달 18, 19일 열리는 FOMC에서 금리가 동결되리라는 전망은 100%에 가깝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