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작심비판
"국회 추천 안해 2인 됐는데, 3인 회의 어떻게 여나?"
野 "합의제 행정기구 방통위 정상화법"
이 위원장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방통위 전체회의를 시작하기 전 “어제 국회 본회의에서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 통과에 찬성한 사람은 전원 야당으로, 민주당이 기획한 방통위 마비가 한 발짝 앞으로 다가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28일 정부과천청사 방통위에서 열린 4차 위원회 회의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회는 지난 27일 본회의를 열고 재석 245인 중 찬성 167표, 반대 78표로 방통위 설치법 개정을 가결했다. 방통위 설치법 개정은 △방통위 회의 최소 의사정족수를 3인 이상으로 명시 △의결정족수는 출석위원 과반수 △국회 추천 방통위 위원을 정부가 30일 이내 임명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야당 주도로 통과된 방통위 설치법 개정은 방통위가 2인 체제에서 공영방송 이사 선임 등 중요 안건을 의결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방통위는 현재 정원 5인 중 대통령 추천 몫인 위원장과 부위원장 2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나머지 3인은 국회 추천 몫이다.
2인체제 의결의 정당성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앞서 헌법재판소는 2인 체제를 문제삼아 저를 탄핵한 민주당 소추에 대해 기각 판결을 내렸다. 2인 체제로 안건을 의결해도 파면시킬 수 없다는 것이며 국민들을 위한 정책 결정 하라는 지시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수시로 소위 먹사니즘, 잘사니즘 부르짖는다. 국민들이 먹고 사는 문제, 더 잘살도록 하는 문제, 즉 민생 문제를 신경쓴다고 밝혀왔다. 그런데 이번에 통과시킨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은 이런 소위 먹사니즘, 잘사니즘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위원장은 “방통위 마비법의 최대 피해자는 1차적으로 방통위 직원들, 그리고 국민이다. 국민들은 다수의 횡포, 다수의 독재라고 응수할 것이다. 국회 방통위원 추천은 권한이자 의무이지 정치적 이득을 위한 수단이 되서는 안된다”고 했다.
또 “방통위 설치법 개정안을 거두고 상임위원 3명 추천해달라, 그것이야 말로 민주당이 원하고 국민이 원하는 합의제 방통위 만드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