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개 분야 골고루 관심…미측 보조금 집행 잘될 거라 해"
"상호관세는 정부 간 협상해야", 러트닉 상무장관과도 면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샐러맨더 호텔에서 열린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 이하 TPD) 2025'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 특파원단 제공>2025.2.23/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강조하는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한미, 한미일 등 이 협력하는 '빅프로젝트'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하는 외국 기업의 대미투자에는 상응하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샐러맨더호텔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재단 주최 트랜스퍼시픽다이얼로그(TPD, Trans-pacific Dialogue) 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미 투자 검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최 회장은 "비즈니스는 필요한 투자는 하는 게 당연한 얘기이긴 한데,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 (딱 정해놓고) 얼마를 하겠다는 식으로 접근하지는 않는다"라고 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공약에) 세금을 내리겠다 등의 얘기가 있었는데, 아직은 구체적으로 나온 게 없지 않으냐"면서 "투자 계획에 반영하려면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 또 오늘 일본 쪽 인사도 참여했지만, 서로 물건을 사고팔기만 하는 관계를 넘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프로젝트를 우리가 이제 좀 만들어야 한다"면서 "그런 빅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대한민국도 트렌드의 파도를 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그러면서 미국 측이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크게 6개의 한국 산업분야에 골고루 관심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이 일본에 이어 한국에도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확대와 가스관 건설 사업 참여를 타진하고 있는 가운데, TPD 참석자들은 △한국·일본이 미국의 에너지 수출을 위한 인프라·물류를 지원하고, 반대로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는 협업 △원자력·SMR(소형모듈원자로) 산업에서 미국 원천기술·IP를 한국·일본의 설계·조달·건설 (EPC) 능력과 조합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SK 측은 밝혔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 이제 한 달이 됐고 이제 막 (내각) 인선이 마무리되고 있다"면서 "미국에서 4월쯤 (상호관세 등을) 발표한다고 하니 기다려 봐야 할 거 같다"라고 부연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모든 무역 상대국을 상대로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냐는 질문에는 "(미국 측에서) 논머니터리(Nonmonetary) 관세도 관세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그렇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협상할수 있는 게 아니라, 차기 한국 정부가 와서 이야기를 할 것으로 저는 얘기를 했고, 미국 측에서도 그렇게 기대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미국 제조업 투자 환경이 생산성 측면에서 중국이나 베트남에 비해 나은 여건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을 어필하고 있냐는 질문에는 "지금 단계에서는 전혀 이야기한 게 없다"면서도 "산업 분야마다 조금씩 다른 거 같다. 미국이 좀 불리한 것도 있지만, 인공지능(AI) 분야 등은 다른 곳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훨씬 더 좋을 수 있다"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25% 이상의 관세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해외 기업들의 미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을 압박하고 있다.
대만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TSMC는 당초 내년 착공 예정이었던 미 애리조나 세 번째 공장의 설립 일정을 앞당겨 올해 6월 착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을 겸임하고 있는 최 회장은 21~22일 이틀간 열린 'TPD 2025' 행사를 주관했다. TPD는 한미일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세계적 석학, 싱크탱크, 재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동북아와 태평양 지역의 국제 현안을 논의하고, 경제·안보의 해법을 모색하는 집단지성 플랫폼이다. 2021년 처음 개최된 이래 올해 4회째를 맞이했다.
또 사절단은 21일에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40여분간 만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자리에서 사절단은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를 강조하고 지속적인 경제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샐러맨더 호텔에서 열린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 이하 TPD) 2025'에서 AI 관련 특별연설을 하고 있다. 2025.2.23/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ryupd0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