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딸기가 진열되어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상승했으며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높았던 품목은 농림수산품, 그중에서도 과일을 비롯한 농산물로 딸기(전월 대비 57.7%), 감귤(26.5%)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20.18(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12월보다 0.6%(전년 동기 대비 1.7%)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도매가격을 바탕으로 산출한 물가다. 이 때문에 시차를 두고 소매가격에도 영향을 준다. 전월과 비교해 생산자물가가 오른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이다. 특히 상승 폭은 2023년 8월(0.8%) 이후 17개월 만에 최고치다.
생산자물가가 급등한 것은 겨울철에 많이 찾는 딸기(57.7%)‧감귤(26.5%) 같은 과일의 도매가가 이상기온 영향으로 전월보다 급등해서다. 지난해 여름 무더운 날씨가 길게 이어지면서, 딸기 모종을 밭에 옮겨심는 정식 작업이 늦어져 출하량이 줄었다. 여기에 올해 겨울이 예년보다 따뜻하자, 저온에서 잘 자라는 딸기의 생산량이 더 떨어졌다. 감귤도 예년보다 무더운 날씨에 병충해 등이 창궐하면서, 출하량이 감소했다. 이 밖에도 같은 기간 물오징어(8.4%)·멸치(13.9%)·원두커피(8.4%) 등의 도매가격이 오르면서 전체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도 4% 급등했다.
반면 계엄이후 떨어졌던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이달 95.2로 전월(91.2) 대비 4포인트 반등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가면서 향후 정치가 안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소비 심리가 일부 회복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CCSI가) 지난해 12월 워낙 크게 떨어진 뒤 1·2월에 걸쳐 하락분 일부를 회복한 것”이라며 “미국 통상정책의 불확실성이 크고 국내 정치 상황도 진행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