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권도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찰이 딥페이크(허위 영상물)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허위 조작 콘텐츠를 판별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2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딥페이크·딥보이스·가짜뉴스 등을 탐지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연구비 91억원을 지원하는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 여부 판별 시스템 개발’ 신규 과제 선정 계획을 최근 공고했다. 연구 기간은 올해 4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3년이다.
경찰은 AI에 기반한 허위조작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이 대중에 공개돼 있어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이 필요하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어 범죄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일선 수사관들이 허위 콘텐츠를 일일이 보는 식으로 조사하면서 허위 조작 콘텐츠의 진위를 빠르게 판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찰은 지난해 1~10월 딥페이크 성범죄 사건 1094건을 접수·수사해 피의자 573명을 검거했다. 집중단속에 나선 시점(지난해 8월28일)을 기준으로 단속 후 하루 평균 신고 건수는 6.9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집중단속 전의 약 3.7배 규모다.
경찰은 딥페이크 외에도 목소리 합성 기술인 딥보이스와 AI를 활용한 가짜뉴스 탐지 기술도 개발해 이를 활용한 범죄를 조기에 차단하겠다고 했다.
전현진 기자 jjin23@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