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
[서울=뉴시스]이은재 인턴 기자 = 결혼 생활 중 '이혼할 때 재산을 모두 포기한다'는 각서를 썼다면 실제 효력이 발생할까.
31일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에 따르면, A씨는 남편과 1년 연애 후 결혼에 이르렀다.
하지만 결혼 생활은 예상과 달리 순탄치 않았다. A씨는 "남편을 잘 안다고 생각했지만, 여자와 술 문제를 일으킬 줄은 몰랐다. 이 문제로 수시로 다퉜고, 남편은 용서를 빌며 여러 번 각서를 썼다"고 말했다.
각서는 남편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며, 이혼 시 재산을 모두 포기한다는 내용이었다. 남편은 각서를 주면서 나중에 모든 재산을 다 가지면 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A씨는 "결국 저와 남편은 협의이혼을 하고 합의서 작성 후 공증받았다. 임대차 보증금을 반으로 나누고 남편이 저에게 양육비를 일시금으로 지급하되 그 외 양육비와 위자료, 재산분할 청구 소송을 제기하지 않겠다는 문구도 넣었다"고 했다.
신진희 법무법인 신세계로 변호사는 "결론만 말씀드리면 A씨 부부가 작성한 각서는 효력이 없다"며 "이는 부부 중 일방이 혼인 생활을 유지하고자 작성한 것이기에 이혼을 전제로 재산 분할에 협의했다고 볼 수 없고, 재산분할 청구권은 이혼이 성립할 때 그 법적 효과로서 발생하는 것이기에 재산분할 청구권의 사전 포기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연자의 경우 상대방과 협의 이혼을 하기로 해 합의서를 작성했으나 협의 이혼에 이르지 못한 상태이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상대방은 이러한 청구가 부당하다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두 사람 사이에 선행해야 하는 협의 이혼이 이뤄지지 않았기에 상대방의 주장이 인정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위자료에 대해서는 "사연을 보면 상대방의 여성 문제나 술 문제 등으로 갈등이 반복됐고 상대방이 각서를 작성한 것도 있으므로 위자료 인증에 충분히 참작될 수 있을 것 같다"며 "출산 후 사연자분이 혼자 아이를 키웠고 상대방은 양육비를 일절 안 줬다고 했기에 가구 양육비를 청구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