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여객기 충돌 이유 여전히 미궁
포토맥강 가로지르는 항로 ‘루트 4’
정기적으로 운항·관제소와도 소통
트럼프 “헬기가 비행기 앞 막았다”
포토맥강 가로지르는 항로 ‘루트 4’
정기적으로 운항·관제소와도 소통
트럼프 “헬기가 비행기 앞 막았다”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 포토맥강에 전날 헬기와 충돌해 추락한 여객기의 잔해가 수면 위에 떠 있다. UPI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워싱턴DC 여객기·헬기 충돌사고가 발생 이틀째에 접어들었지만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고 있다. 16년만에 발생한 미국 최악의 민간 항공기 참사는 여객기와 군용 헬기 블랙호크가 같은 고도에서 비행하게 된 이유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미국 방송 CNN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오후 늦게 블랙박스 1기가 포토맥강에서 회수됐다. 해독 후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까지는 시일이 다소 소요될 전망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사고 블랙호크에는 야시경이 장착돼있었고, ‘상당히 숙련된 조종사’에 의해 훈련 비행중이었다. 미 육군 항공국에 따르면 사고 블랙호크의 지휘관으로 지정된 조종사는 1000시간, 다른 조종사는 500시간의 비행 경력이 있다. 세번째 군인은 헬기 뒤편에 탑승하는 정비기장(crew chief)이었다. 블랙호크에는 남성대원 2명, 여성대원 1명이 탑승했다.
사고 블랙호크가 어느 정도 고도로 비행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미국 방송 NBC가 항공자료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충돌 시점의 여객기 고도는 94m(308ft)였다. 블랙호크가 통상적인 최고 고도보다 더 높이 비행했음을 의미한다.
그는 브리핑 후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도 기자들에게 “비행기가 하강해 착륙하는 중이었는데, 헬기가 그 앞을 막았다”며 “그들은 (관제사들) 그것을 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도 이번 사고와 관련해 헬기 측의 ‘실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어떤 종류의 고도 문제가 있었다. 우리는 즉시 국방부와 육군 단위에서 조사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고를 일으킨 헬기가 ‘정부 연속성 임무’ 차원에서 “일상적인 연례 야간 비행 재훈련”을 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해당 블랙호크(시코르스키 UH-60)는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아에 주둔하고 있는 12 항공대대 소속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사고가 발생한 포트 벨보아에 대해 48시간 동안 비행중단을 명령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사고 당시 로널드 레이건 공항 관제탑의 근무 인력 상황이 “시간과 교통량에 비해 정상이 아니었다”고 평가한 연방항공청(FAA) 내부 보고서를 입수해 보도했다. 공항 주변 헬기들을 담당했던 관제사가 활주로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에 대한 지시 업무까지 하고 있었는데 이는 보통 관제사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이 맡는 업무라는 것이다.
이번 사고로 두 항공기 탑승자 67명이 전원 사망한 것으로 구조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워싱턴DC의 존 도널리 소방청장은 기자회견에서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제 구조 작전에서 (시신 등의) 수습 작전으로 전환하는 시점에 있다. 현시점에서 우리는 이번 사고의 생존자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