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2025년 1월 31일 조직개편 및 인사 단행했다. 연구회 임직원들 [사진: NS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투데이 석대건 기자]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조직 효율성 강화와 R&D 완결성 제고를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NST는 2025년 2월 1일부터 조직개편을 시행한다고 31일 발표했다. 이번 조직개편은 유사·연계 업무의 집중을 통한 경영효율화와 시너지 효과 제고, 환경 변화에 따른 기능 재조정을 핵심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사장 직속으로 '미래전략소통실'을 신설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관장 경영목표에 체계적으로 대응한다. 미래전략소통실은 이사장 경영활동 보좌와 성과 모니터링 총괄, 대국민 소통·홍보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기존 성과확산부는 '기술사업화추진단'으로 상향 개편됐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 전주기의 완결성을 확보하고, 연구 성과가 기술사업화와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NST는 연구개발 초기부터 성과 활용까지 전 과정의 체계적 관리로 연구 결과의 산업화와 경제적 가치 창출 확대를 위한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감사단은 점검 중심에서 사전 예방 중심으로 전환해 운영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한다. 감사단 내 각 부서에 새로운 '팀' 단위를 신설해 연구기관 운영 전반의 감사 체계를 강화했다.
이어 "이번 개편을 통해 연구회가 보다 국민과 소통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출연(연)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 과학기술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겠다"며 덧붙였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조직도 [사진: NS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NST 조직개편에 따른 인사(2025년 2월 1일자)
◇ 본부장
△ 정책기획본부장 이진환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융합전략본부장 민병권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경영지원본부장 김태우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기술사업화추진단장 (추후 선임) △ 정책전략부장 신영근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인재정책부장 김태수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평가혁신부장 박선홍 △ 글로컬혁신부장 김문주 △ 융합기획부장 강헌수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융합연구사업부장 김기완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경영기획부장 이성우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재정지원부장 조지혁 △ 인사문화부장 박현철 △ 행정지원부장 심규남 △ 미래전략소통실장 김양훈 △ 감사기획부장 노희철 △ 감사1부장 배성수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감사2부장 권희정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감사부장 석재진
◇ 팀장
△ 정책연구팀장 최상민 △ 연구제도팀장 조진규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인재전략팀장 백종천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인재개발혁신팀장 박병호 △ 기관평가팀장 구선모 △ 연구행정혁신팀장 김호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글로벌네트워크팀장 송재준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지역혁신팀장 이화정 △ 사업화전략팀장 김요한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기술사업화팀장 조민상 △ 출연(연)사업화공동추진TF팀장 윤원중 (보직자 유임) △ 기술전략팀장 주성규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융합정책팀장 이창희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전략연구단팀장 김진애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융합연구팀장 조경태 △ 기획조정팀장 김소정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정보화팀장 안창인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재정전략팀장 서영민 △ 의정지원팀장 백한영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인사교육팀장 성효신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윤리문화팀장 최희자 △ 총무회계팀장 김현태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홍보팀장 안미영 (직위 및 보직자 유임) △ 감사기획총괄팀장 김진휘 (직위 변경, 보직자 유임) △ 시설·보안관리단 감사팀장 김원중 △ 공직기강팀장 곽정호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