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한 본격적인 조사에 앞서 사고 여객기가 안전한지에 대한 확인 작업이 먼저 이뤄졌습니다.
박준오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사고 여객기 합동 감식에 앞서 여객기 상태 확인에 나섰습니다.
감식 과정에서 항공유에 불이 붙으면 폭발 위험이 있어, 안전성을 먼저 확보하려는 겁니다.
항공기엔 3만 5천 파운드, 약 16톤에 달하는 항공유가 양쪽 날개에 실려 있습니다.
[강용학/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단장]
"조사하는 과정에서 어떤 발화 원인이 다시 제공이 된다고 하면은 그 화재로 인해서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사위원회는 현장 감식 작업 전에 항공기에 실려 있는 항공유를 전부 빼내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항공유 처리 작업에는 최소 하루 이상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조사위원회는 사고 직후 실시한 현장 조사에서 기체의 양쪽 날개와 엔진이 손상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고, 테러 용의점도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좌석 위 선반에서 불이 시작된 정황이 속속 나오고 있는 가운데, 조사위는 정확한 발화 지점 및 보조 배터리 발화 여부 등 다각도로 화재 원인을 조사한다는 방침입니다.
[강용학/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단장]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항공기 제작 및 설계를 한 국가에서도 사고 조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국제민간항공기구 규정 따라 프랑스에서 항공사고조사단도 입국해 조사에 합류했습니다.
조사위원회는 앞서 회수한 비행기록장치와 음성기록장치도 정밀 분석할 계획입니다.
MBC뉴스 박준오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박준오 기자(ohappy@busa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한 본격적인 조사에 앞서 사고 여객기가 안전한지에 대한 확인 작업이 먼저 이뤄졌습니다.
박준오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사고 여객기 합동 감식에 앞서 여객기 상태 확인에 나섰습니다.
감식 과정에서 항공유에 불이 붙으면 폭발 위험이 있어, 안전성을 먼저 확보하려는 겁니다.
[강용학/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단장]
"조사하는 과정에서 어떤 발화 원인이 다시 제공이 된다고 하면은 그 화재로 인해서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사위원회는 현장 감식 작업 전에 항공기에 실려 있는 항공유를 전부 빼내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항공유 처리 작업에는 최소 하루 이상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좌석 위 선반에서 불이 시작된 정황이 속속 나오고 있는 가운데, 조사위는 정확한 발화 지점 및 보조 배터리 발화 여부 등 다각도로 화재 원인을 조사한다는 방침입니다.
[강용학/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단장]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항공기 제작 및 설계를 한 국가에서도 사고 조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국제민간항공기구 규정 따라 프랑스에서 항공사고조사단도 입국해 조사에 합류했습니다.
MBC뉴스 박준오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박준오 기자(ohappy@busanmbc.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