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언박싱] 가격 하나만으로 잘 되는 건 아니다... 다양성의 가치 제공, 그리고 이를 가능케 한 운영 역량 (글 : 기묘한 뉴스레터 트렌드라이트 발행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묘한은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 「트렌드라이트」의 발행인으로, 「기묘한 이커머스 이야기」의 저자이기도 하다. 매주 수요일 뉴스레터를 통해 업계 현직자의 관점을 담은 유통 트렌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경제가 어렵다고 한다. 특히 고물가로 인해 내수 시장은 한층 더 얼어붙고 있다. 하지만 이런 힘든 상황 속에서도 일부 기업들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바로 다이소와 애슐리퀸즈다. 이들의 빠른 성장을 분석하는 기사들에서는 주로 '가격'이라는 요소에 주목한다.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을 통해 가성비를 인정받고, 어려운 시기에 오히려 성장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것이 전부일까?
다이소는 10대들의 놀이터로 자리 잡으면서, 현재의 위치까지 오를 수 있었다. 출처 : 유튜브 채널 옐언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변화에 불을 붙인 건 10대 소비층이었다. 주머니는 가볍지만, 유행에 민감한 이들이 다이소를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는 '놀이터'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제는 다이소 상품을 사서 언박싱하는 '다이소깡'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다이소가 과거처럼 단순히 저가 생활용품 전문점에 머물렀다면, 지금처럼 대중적인 영향력을 얻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러한 인기를 이끈 가장 큰 요인은 물론 가성비일 것이다. 하지만 애슐리퀸즈의 가격은 다이소처럼 단순히 저렴한 수준은 아니다. 애슐리퀸즈는 퀄리티 대비 가격 경쟁력이 돋보이는 곳이다. 평일 점심 1만 9,900원, 평일 저녁 2만 5,900원, 주말·공휴일 2만 7,900원이라는 가격은 최근 외식 물가를 고려하더라도 결코 저렴한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객이 찾는 이유는 가격 외적인 요소, 특히 다양성 때문이다.
애슐리퀸즈는 시즌마다 메뉴를 바꾸면서 경험 장소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기도 하다. 출처 : 이랜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애슐리퀸즈는 일종의 시즌제 운영을 통해 고객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주기적으로 테마를 선정하고, 이에 맞춘 신메뉴를 선보인다. 이 전략은 애슐리퀸즈를 단순히 저렴하게 식사를 하는 장소가 아닌, 놀러 가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고객들은 새로운 테마와 메뉴를 즐기기 위해 다시 찾게 되었고, 이는 애슐리퀸즈가 더 큰 호응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민표 D콘텐츠 제작위원 minpy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