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바둑협회 "중국 바둑리그서 한국 선수 퇴출"
한국기원 주최 세계바둑대회 불참 통보도
23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에서 열린 제29회 LG배 조선일보기왕전 결승3번기 최종국에서 커제 9단이 항의하고 있다. 바둑TV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커제는 지난 23일 한국기원 주최 LG배 기왕전 결승 3국에서 사석(바둑에서 잡은 상대방 돌) 관리 규정을 어겨 심판의 경고를 받자 바로 반발했다. 지난해 11월께 한국기원이 신설한 사석 관리 규정을 보면, 사석은 반드시 사석 통에 넣어야 한다. 반면, 사석도 집으로 계산하는 한국 바둑과 달리 바둑판에 놓인 돌만 계산하는 중국의 바둑 경기에선 사석 관리 규정이 따로 없다.
이날 커제는 사석을 탁자 위에 두었다가 경고를 받았다. 반칙 선언에 불복한 커제가 대국을 재개하지 않아 기권패가 결정되자 중국 위기협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중국선수단은 결승 최종국 이튿날 열린 시상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준우승 상금 1억원을 받게 된 커제도 불참했다.
중국의 바둑기사인 커제 9단이 지난 23일 LG배 기왕전 결승 최종국에서 기권패한 것에 대해 중국 바둑계가 반발하면서 한·중 바둑 교류가 최대 위기를 맞았다. 아시아경제DB |
LG배 사태 이후 중국 위기협회는 25일 갑자기 중국 바둑리그에 외국인 선수가 참가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지난 시즌에는 한국 선수 20여 명이 중국 바둑리그에 외국인 선수 자격으로 출전했다. 이어 28일 중국 위기협회가 2월 6일 서울에서 열리는 제1회 쏘팔코사놀 세계최고기사 결정전 불참을 선언하면서 대회는 무기 연기됐다. 이 대회에는 커제를 비롯한 중국 선수 4명이 출전할 예정이었다.
논란이 커지자 한국기원도 설 연휴 이후 사석 관리 규정을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 사석 관리 규정은 국제대회 때 중국 선수들이 따낸 돌을 여기저기 던져놓아 형세 판단에 혼란을 겪는 상황을 방지하려고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바둑에서는 계가 때 사석을 집을 메우는 데 사용하기 때문에 선수들이 대국 도중 상대 사석 수를 확인하고 형세를 판단한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